본문내용
1. 서론
헬리코박터균에 대해 조사한 바로는 이 균이 위점막에 기생하는 그람 음성 나선균으로, 위의 점액층을 뚫고 들어가 위 점막 표면에서 살아간다는 것이다. 특히 이 균은 요소분해효소 생산능력이 다른 균에 비해 100배 이상 높아서 이를 활용해 주위 요소를 알칼리성 암모니아로 만들어 염산으로부터 자기 주변을 지키는 보호대를 만들어 생존한다.
또한 헬리코박터균은 소화성궤양, 위 MALT 림프종, 위암 등 각종 상부소화기 질환의 원인으로 밝혀졌다. 국내의 경우 십이지장궤양 환자의 90~95%, 위궤양 환자의 60~80%에서 이 균이 발견되며, 제균치료를 하면 소화성궤양의 재발률이 현저히 감소한다. 게다가 1994년 세계보건기구에서 헬리코박터균을 위암의 분명한 발암인자로 분류하였고, 여러 연구에 의하면 위암 발생의 위험도가 약 3.8배 증가한다고 한다.
이처럼 헬리코박터균은 인체에 매우 해로운 균으로 밝혀졌으며, 그 병리기전도 상세히 규명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 균에 대한 진단과 제균치료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 헬리코박터균의 병태생리
헬리코박터균은 그람 음성 나선균으로, 몸에 여러 개의 편모(flagella)가 달려 있다. 이 편모를 이용해 위 점막 표면의 점액층을 뚫고 들어가 살아간다. 헬리코박터균은 요소분해효소 생산능력이 다른 균에 비해 100배 이상 높은데, 이 능력을 활용해 주위 요소를 알칼리성 암모니아로 만들어 염산으로부터 자기 주변을 지키는 보호대를 만들어 생존한다. 헬리코박터균은 각종 상부 소화기 질환의 원인균으로 밝혀졌다. 국내의 경우 십이지장궤양 환자의 90~95%, 위궤양 환자의 60~80%에서 헬리코박터균이 발견되며, 헬리코박터균을 제균하면 소화성궤양의 재발률이 현저히 감소된다. 또한 헬리코박터균은 위암과 연관성이 입증되었고, 1994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분명한 위암의 발암인자로 분류되었다. 여러 연구에 의하면 위암발생의 위험도가 약 3.8배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를 통해 위·십이지장궤양, 위 MALT 림프종, 위암,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 기능성 소화불량증, 원인불명의 철분결핍성 빈혈, 만성 특발 혈소판 감소와 같은 질환들이 헬리코박터균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헬리코박터균이 있다고 해서 모든 환자에서 질환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 약 50% 가량의 사람들이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연령대별로는 40대 이후의 경우 60%이상의 높은 감염률을 보이고 있다. 전파경로는 구강, 분변을 통해 전파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3. 헬리코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