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아동의 신우신염은 신장의 세균성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신우신염은 소아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감염 질환이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만성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신우신염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신우신염 환아의 간호 과정을 살펴보고, 간호 진단 및 간호 계획, 간호 중재와 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다룰 것이다. 또한 최신 연구 및 근거 자료를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간호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신우신염 환아의 건강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아동 신우신염 환아의 간호과정
2.1. 아동의 건강사정
김00은 10세 남아로 응급실을 통해 입원한 환아이다. 주 호소는 지속적인 고열, 오심 및 구토이며, 오른쪽 복부 통증과 구토, 발열, 오한으로 인해 입원하였다.
환아는 만삭으로 출생하였고, 돌 지난 후 요로감염으로 5-6회 입원 경력이 있으며 2017년 VUR로 인한 시술을 받은 병력이 있다. 가족력에는 특이사항이 없고, 경제 상태는 중 수준이다.
입원 시 활력징후는 혈압 100/60mmHg, 맥박 100회/분, 호흡 22회/분, 체온 38.2도, SpO2 99%로 측정되었다. 예방접종은 BCG, DPT 4차, 소아마비 4차, B형 간염 3차를 접종하였으며 MMR, 일본뇌염, 뇌수막염, 폐구균 백신은 접종하지 않았다.
식이는 일반식을 섭취하며, 배뇨는 1일 8회, 배변은 1일 1회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수면은 9시간 취하고 있으며 특별한 알레르기는 없다.
신체검진 결과 피부는 건조하며, 호흡음과 심음은 정상이었고, 복부와 기타 신체 부위에서는 특이사항이 관찰되지 않았다. 신경학적 검사에서도 이상소견이 없었으며, 낙상 위험 평가 결과 총 4점으로 저위험군에 해당한다.
환아의 주요 검사 결과로는 WBC 9.2-11.2 x 10^3/μL의 증가, Hb 12.1-12.6 g/dL, Hct 33.0-33.7%, MCV 78.9-80.3 fL, MCH 24.5-27.8 pg, PLT 230-276 x 10^3/μL 등이 관찰되었다. AST는 23-47 U/L로 상승되었고, PCT는 0.1-0.4%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2.2. 환아의 현병력 및 진단
환아는 오른쪽 복부통증과 구토, 발열, 오한으로 인해 입원하였다. 입원 2일 전부터 발병하여 급성 복부 통증이 나타났으며, 신우신염 진단을 받았다. 환아는 돌 지난 후 요로감염으로 5-6회 입원한 병력이 있으며, 2017년에는 방광요관역류(VUR)로 인한 시술을 받은 이력이 있다. 입원 시 체온은 38.2°C로 측정되었고, 호흡수는 22회/분, 맥박은 100회/분이었다. 환아의 활력징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입원 기간 동안 주요 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