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환자안전 간호전문직표준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주제와 관련된 의료사고 사례
2.2. 논문 요약
3. 결론
3.1. 간호 적용점
3.2. 느낀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환자안전은 모든 의료 분야가 추구해야 할 중요한 목표이다. 그러나 병원에서 발생한 위해사건 연구에 따르면 입원기간 동안 환자에게 발생한 위해사건이 9.2%이며, 이 중 투약과 관련된 오류가 15.1%로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투약오류는 환자에게 직접적인 피해와 고통을 줄 뿐만 아니라 입원기간 연장, 기존 질병 악화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투약오류에 대한 원인과 예방방안을 파악하여 안전한 투약간호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2. 본론
2.1. 주제와 관련된 의료사고 사례
사례 1. 고혈압으로 응급실로 내원한 70대 환자는 의료진으로부터 혈압강하제(니카르디핀염산염) 주사제를 처방받았으나, 응급카트에서 해당 의약품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혈압상승제(노르에피네프린 타르타르산염수화물)로 잘못 준비하는 오류가 발생하였다. 이후 잘못 준비된 의약품(혈압상승제)을 환자에게 주입하던 중 심전도 모니터에 부정맥이 관찰되어 즉시 투여를 중단했고, 부정맥 발생 경위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처방과 다른 의약품이 투여된 사실을 인지하였다. 이후 각종 응급처치 시행 후 중환자실로 이송하여 경과를 관찰하였으며 다행히 환자는 큰 이상 없이 회복하였다.
사례 2. 사례의 환자는 좌측 총 대퇴정맥 부위에 폐색전증, 심정맥 혈전증, 의증 진단을 받고 와파린을 복용하기 시작했으며, 경구약을 투여한 후 흡인성 폐렴이 발생해 산소투여 및 항생제 등의 치료를 받던 중 지속적인 전신 위약감 등에 대한 재활 치료를 위해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그러나, 다른 환자의 약이 실수로 투여되어 중환자실로 이동하여 사망하였다. 진료 전 환자는 만성 신부전증이었으나 의식이 뚜렷했고, 재활 치료도 가능한 상태였으나, 투약 오류로 호흡곤란을 일으켜 인공호흡기에 의존한 채 중환자실에서 60일간 고통 받다 억울하게 사망하였다.
사례 3. 이 사례는 정신건강 전문병원(정신질환이나 약물, 알코올 중독 환자들을 주로 치료하는 병원)의 사례이다. 정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 A는 지난달 간호사가 환자의 이름을 착각해 다른 환자에게 먹일 정신과 약물을 투약하려 한 사례가 있었고, 지난 5월에는 병원에 접수하고 입원하려는 환자 신원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
참고 자료
김준규, 송영숙, and 서순림. “임상간호사의 투약오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21): 19~27
류한술, “환자 확인 잘못으로 발생하는 투약오류 주의하자”, 경인종합일보, 2022.04.19., https://www.jonghap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0670
김은영, “예방 가능한 환자안전사고 ‘투약오류’ 줄이려면?”, 청년의사, 2021.05.14.,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0618
최윤경, “세계환자안전의 날을 맞이하여”, 의학신문, 2021.08.30.,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7411
KOPS,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 ‘환자에게 처방되지 않은 다른 의약품 투여’ https://www.kops.or.kr/portal/aam/atent/atentAlarmCntrmsrDetail.do
신미자 외 8인. 간호관리학. 수문사, p575~578, p736~764
양선희 외 9인. 제 4판 기본간호학 Ⅰ. 현문사, p23~30
김분한 외 5인. 간호학개론 2판(2020). 포널스출판사, p308~386
대한간호협회. 한국간호사 간호표준(2003). http://www.koreanurse.or.kr
대한간호협회. 한국간호사 윤리선언(2014), 윤리강령(2013). http://www.koreanurse.or.kr
심영남 외.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의 윤리적 문제 경험.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11
권순정.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환자 간호실무표준 불이행에 대한 조사.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07
판례: 대법원 1994.12.22. 93도3030 (원심 서울형사지방법원 1993. 10. 12 신고 93노459)
For Nurse. 간호전문직의 표준과 법적 및 윤리적 기준 정의.
https://cupang2.tistory.com/entry/간호전문직의-표준과-법적-및-윤리적-기준-정의
경구투약(Oral Administraion, P.O)
https://blog.naver.com/lhc930102/221152883543
제단법인 한국간호교육평가원(2017.2). 간호교육인증평가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 프로토콜.
임상실습입문 지침서
서울대학교. 개인정보처리방침
http://www.snuh.org/content/M006008001.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