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의 발병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관심사로 부상하였다. 국내에서도 2020년 1월 20일 최초의 코로나19 환자가 확인되었고, 2021년 4월 30일까지 진단된 환자는 122,007명이며 1,828명이 사망하였다. 코로나19는 생소한 질병이었지만, 급격히 확산되면서 국민들의 불안감을 유발하였고, 사회·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개인의 일상생활에서도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한국의 방역체계는 세계의 모범이 되었지만, 확진자 증가에 따른 의료 인력의 피로도 증가, 기존 보건의료정책의 한계 등이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국민의 관점에서 현 보건의료정책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국민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보건의료정책의 변화 요구도와 발전 방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1.2. 조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남녀를 모집단으로 하며, 근접 모집단은 대구·경상북도 20세 이상 성인 남녀이다. 표본 추출은 비확률 표집 방법 중 지역과 성, 연령을 기준으로 한 할당표집을 활용하여, 대구광역시, 구미시, 김천시, 군위군 4개 지역에서 총 480명의 20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23년 4월 15일부터 4월 30일까지였다. 연구 참여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익명성이 보장되었고, 연구 참여 철회가 가능하도록 안내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는데, 대상자의 특성과 변수들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보건정책 변화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2. 본론
2.1. 4차산업혁명과 보건의료체계의 변화
4차산업혁명은 인공지능과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의 디지털화를 기반으로 모든 영역의 물리적 경계가 허물어지고 연결성이 확대되면서 융합이 가속화되어 기존과 완전 다른 체계의 패러다임을 발생시키는 혁명이다. 제조와 서비스, 금융과 물류 등 다양한 산업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제조업 분야의 4차산업혁명은 제조현장에 ICT기술을 적용하여 스마트 공장을 설립하여 운영하는 등 기존의 방식에서 전혀 새로운 것으로 변화하는 혁명이다. 이는 생산라인에 사람이 아닌 기계가 자동화 공정을 통해 생산하는 시스템으로써 스마트 제조를 통한 제조혁신의 패러다임을 추진하는 것이다.
현대기아차그룹은 2020년 12월 보스턴다이나믹스라는 미국 로봇회사를 인수하였는데, 이는 M&A를 통해 기업이 가진 기술력을 함께 얻는 방식이다. 보스턴다이나믹스는 이후 4족보행 로봇인 스팟과 물류창고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