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강원도 원주의료원 개요
강원도 원주의료원은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한 지역거점 공공병원이다. 강원도 내에서 유일한 지방의료원으로, 원주시와 인근 지역주민들의 양질의 의료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강원도 서북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원주는 교통의 요지로 영동고속도로와 중부내륙고속도로가 지나가는 지역이다. 이에 따라 원주의료원은 강원도 내에서 접근성이 용이한 의료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원주의료원은 종합병원 규모로 운영되며,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정신건강의학과 등 주요 진료과를 갖추고 있다. 또한 응급의료센터와 함께 응급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역 내 유일한 공공병원으로서 의료취약계층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과 지역사회 밀착형 의료서비스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원주의료원은 강원도 내 타 병원과 연계하여 권역외상센터,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지역장기이식센터 등의 기능도 수행하며 지역거점병원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내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1.2. 지역사회 간호과정의 필요성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다. 지역사회의 특성과 건강 수준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간호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우선순위를 고려한 간호 계획 수립과 체계적인 간호 수행,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지역사회의 지리적 특성, 인구구조, 건강 수준 등 지역사회 진단을 통해 지역 주민의 실제적인 건강문제와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우선순위가 높은 간호 진단을 수립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이고 타당한 간호계획을 수립하여 체계적인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평가를 통해 간호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필요에 따라 계획을 수정 및 보완함으로써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지역사회 건강문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간호 실무의 핵심 절차라고 할 수 있다.
2. 지역사회 간호사정
2.1. 지역사회 간호사정 방법
원주시 지역사회 간호과정 실습 과정에서 다양한 지역사회 간호사정 방법이 활용되었다. 지역 시찰을 통해 차창 밖 조사를 수행하고, 방문간호 시 이동하며 질문하는 등 실제 지역사회를 탐색하였다. 또한 원주시 보건소 홈페이지,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등 기존 자료를 조사하여 지역사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와 함께 각 부서별 임상실습을 통해 원주시민들이 보건소를 방문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사정 방법을 통해 원주시의 지리적 특성, 인구구조, 건강 수준, 환경 특성, 교통 및 통신 공공시설, 오락-휴식, 지역사회자원 등 지역사회 전반에 대한 심층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었다. [1]
2.2. 지리적 특성
원주시는 동쪽은 영월·평창군, 서쪽은 경기도 여주시·양평군, 북쪽은 횡성군, 남쪽의 충청북도 충주·제천시에 접해있다. 특히, 원주시는 남한강과 섬강을 경계로 경기도 여주시, 남한강과 운계천을 경계로 충청북도 충주시와 접하고 있는 위치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원주시 총 면적은 867.6㎢으로 강원도 전체 면적의 5.1%를 차지하고 있으며 행정구역상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