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호흡부전 case study"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1. 급성호흡부전의 정의
1.2. 병태생리
1.3. 원인
1.4. 임상증상
1.5. 치료와 간호
2. 간호력
2.1. 일반적 사항
2.2. 과거력
2.3. 활동과 휴식
2.4. 산소욕구
2.5. 영양과 배설욕구
2.6. 안전과 안정욕구
2.7. 대상자 흐름도(경과기록)
2.8. 진단검사 소견
2.9. 약물
3. 진단적 검사
3.1. 임상병리 검사
3.2. 영상 검사
4. 투약한 약물
5. 간호과정
5.1. 가능한 간호진단 목록
5.2. 간호진단 적용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1. 급성호흡부전의 정의
급성호흡부전은 허파꽈리(폐포)와 폐모세혈관 사이에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교환장애가 급성으로 발생한 상태이다. 이는 심각한 질병이나 손상 후에 발생할 수 있다. 전체 환자 중 1/3이 전반적인 세균성 혈액 감염 때문에 발병한다. 심한 외상이나 화상을 입었을 때에도 나타날 수 있다.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폐렴, 산부인과적 응급 질환, 구토물의 흡인, 마약성 약제의 과다 복용이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런 질환이 어떻게 폐에서 체액을 유출시키는지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폐렴은 호흡부전의 원인이 될 수도 있고, 그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1.2. 병태생리
급성 호흡부전은 환기부전, 산소화부전, 환기와 산소화부전의 혼합 상태로 나타난다. 환기부전은 폐나 흉벽의 구조적 장애, 뇌의 호흡조절중추 이상, 호흡근 기능 장애 등으로 인해 폐로 들어가고 나가는 흉곽내압의 적절한 변화가 이루어지지 못해 발생한다. 그 결과 폐포에 들어오는 산소가 부족하고 체내에 탄산가스가 남게 된다. 산소화부전은 환기는 정상이지만 폐순환이 부적절하여 가스교환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환기와 산소화부전이 혼합된 경우에는 저산소혈증이 심각하다. 따라서 폐부전이 발생하면 신체 대사에 필요한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이산화탄소 배출 또한 충분하지 않게 된다.
1.3. 원인
급성호흡부전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저산소혈성 호흡부전은 급성 폐손상, 성인 호흡곤란증후군, 기흉 등의 폐질환으로 인해 발생한다. 고탄산혈성 호흡부전은 과소환기, 비만, 횡격막 피로 등으로 발생한다. 또한 중추신경계 억제로 인한 호흡 저하, 호흡근육의 기능 저하 등 신경근육성 장애로도 발생할 수 있다. COPD의 급성악화나 지속성 천식 등 만성 호흡기 질환도 호흡부전의 원인이 된다.
1.4. 임상증상
호흡곤란, 빠른 호흡, 호흡 시 보조근육 사용, 우발음(거품소리, 쌕쌕거림), 호흡음 감소, 흡기와 호기 시 그렁거림, 기침, 분비물 증가, 좌식호흡이 나타난다. 또한 불안, 혼돈, 지남력 상실, 각성의 어려움과 졸음, 근육연축과 같은 신경계 증상이 나타난다. 빠른맥, 심장박동장애, 발한, 고혈압 또는 저혈압과 같은 심장계 증상도 볼 수 있다. 방사선 검사에서는 폐 침윤, 무기폐, 기흉 소견이 나타날 수 있다. []
급성호흡부전 환자는 심각한 호흡곤란, 빈호흡, 약하고 희미한 빈맥, 고혈압(심인성의 경우), 90° 이하의 자세에서 기좌호흡, 호흡 보조근의 사용, 불안, 호흡곤란, 안절부절못함 등의 증상을 보인다. 또한 악설음, 수포음, 천명음, 제 3심음, Pulse oximetry 적용 시 85%이하, ABGA 상 PaO₂ 30~50mmHg, 빈호흡으로 인한 호흡성 알칼리증, PAP, PAWP의 상승, 우심부전, 간비대, 경정맥 팽대, 말초부종, 묽고 거품 섞인 객담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1.5. 치료와 간호
치료의 목적은 저산소혈증과 호흡산증을 교정하며, 원인질환을 확인하여 치료하는 것이다. 호흡횟수와 양상의 변화, 폐음의 변화, 저산소혈증과 고탄산혈증의 증상과 징후, 산소포화도의 감소를 사정한다. 산소화상태를 적절하게 사정하기 위해서는 동맥혈가스분석이 필요하다. 산소요법으로 SaO2를 95% 이상, 동맥혈산소분압을 80mmHg 이상으로 유지한다. 동맥혈산소분압이 적정수준을 유지하지 못하면 기계적 환기를 실시한다. 폐포 환기를 증가시키거나 중탄산염을 투여하여 산증을 치료한다.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취해주고,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완술, 유도심상법(guided imagery), 기분전환법을 시도한다. 기도를 개방하고 가스교환을 촉진하기 위해 약물은 전신적 또는 흡입기를 통해 투여한다. 대상자에게 흡입기와 약물 사용법, 심호흡과 기타 호흡운동방법을 교육한다. 치료가 적절하지 않으면 빠른 호흡을 지속하다가 결국 호흡근 피로에 의한 환기저하(hypoventilation)를 보이면서 저산소혈증(hypoxemia)이 악화된다. 합병증은 폐성심(cor pulmonate), 자연기흉, 호흡산증, 이산화탄소혼수(CO2 narcosis) 등이다. 급...
참고 자료
황옥남 외 8명, 『제7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2019), pp. 33, 507, 581, 582
약학정보원, “풀미칸”,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MMMMM0393
약학정보원, “furix tab",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950A0068
약학정보원, “크녹산”,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KP07L0225
약학정보원, “케이캡정”,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8070600004
약학정보원, “뮤테란”,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1530A0114
서울대학교병원, “노바스크”,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NORV5
서울대학교병원, “mucomyst",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OA-MUC4ML
서울대학교병원, “에빅사”,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EBX10
서울대학교병원, “실마진 1%”,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EBX10
서울성모병원 건강증진센터 [internet]. [cited 2023 10 18]. Acailable from: https://www.cmcseoul.or.kr/healthcare/bbs/view.do?idx=57&engWord=&curPage=9&keyword=&word2=&searchFields=&word3=&word=&type=A
황옥남 등. 성인간호학 상권. 제 7판. 서울: 현문사; 2019.581 p.
양선희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 1, 2, 현문사
박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약학정보원 [internet]. [cited 2023 10 18]. Acailable from: https://www.health.kr/main.asp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internet]. [cited 2023 10 18]. Acailable from: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Ⅱ 8판, 정담미디어 · ㈜학지사(2017년), p.1315-1317, 1057-1061
약물 정보, 2018. 09. 29 인용,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