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재 동서양고전의 이해 내용중 박지원의 연암집의 지은이 소개부터 본문 및 원문의 내용을 읽고 독후감을 제출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박지원 『연암집』
1.1. 지은이(연암 박지원) 소개
1.2. 『연암집』의 요약
1.2.1. 호질
1.2.2. 허생전
1.2.3. 양반전
1.2.4. 광문자전
1.2.5. 예덕선생전
1.2.6. 민옹전
1.2.7. 김신선전
1.2.8. 우상전
1.2.9. 마장전
1.2.10. 열녀 함양 박씨전
1.3. 『연암집』의 독후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박지원 『연암집』
1.1. 지은이(연암 박지원) 소개
박지원은 1737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조선 후기의 문호이자 실학자이다. 그의 본관은 반남이고 자는 미중 또는 중미, 호는 연암이다. 반송방 야동에서 출생한 그는 『열하일기』를 저술하여 당시 중국의 정세를 살펴보고 선진 문명을 소개하는 한편, 조선에 대한 심도 있는 내부 비판을 시도하였다. 1786년 음직으로 선공감 감역의 벼슬을 시작으로 여러 말단 벼슬을 거쳐 1792년 현감, 1797년 면천 군수, 1800년 양양 부사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벼슬에서 물러난 그는 홍대용과 함께 조선의 주체성에 대한 고민 위에서 이용후생의 실학을 모색하였으며, 창조적·성찰적인 글쓰기를 통해 당시 조선 사대부들의 미망과 편견, 허위의식과 위선을 통렬히 비판하면서 새로운 사유와 미의식의 지평을 열어나갔다. 그의 문집인 『연암집』이 전해지고 있으며, 특히 『열하일기』를 통해 불후의 문장가로 조선의 역사에 남은 인물이다. 1805년 69세에 운명한 그는 "깨끗이 목욕시켜 달라"는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연암 박지원은 이용후생 이후에 정덕을 이루는 방법을 주장하며, 현실의 문제 개혁 없이는 미래의 비전을 찾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는 그의 문학 작품에서도 잘 드러나는데, 그는 당대에 맞는 문체 개혁을 주장하며 새로운 현실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문학을 창조하고자 하였다.
1.2. 『연암집』의 요약
1.2.1. 호질
대호(大虎)가 사람을 잡아먹으려 하는데 마땅한 것이 없었다. 의사를 잡아먹자니 의심이 나고 무당의 고기는 불결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청렴한 선비의 고기를 먹기로 했는데, 이 때 고을에 도학으로 이름이 있는 북곽선생(北郭先生)이라는 선비가 동리자(東里子)라는 젊은 과부와 정을 통했다. 그녀의 아들들이 북곽선생을 여우로 의심해 몽둥이를 들고 어머니의 방을 습격했는데, 북곽선생은 허겁지겁 도망쳐 달아나다가 그만 분뇨구덩이에 빠졌다. 겨우 머리만 내놓고 발버둥 치다가 기어 나오니 큰 호랑이가 앞에 기다리고 있었다. 호랑이는 더러운 선비라 탄식하며 유학자의 위선·아첨·이중인격 등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했다. 북곽선생은 정신없이 머리를 조아리고 목숨만 살려주기를 빌다가 머리를 들어보니 호랑이는 보이지 않고 아침에 농사일을 하러 가던 농부들만 주위에 서서 그의 행동에 대해 물었다. 그러자 그는 농부에게, 자신의 행동이 하늘을 공경하고 땅을 조심하는 것이라고 변명하였다.
1.2.2. 허생전
남산골에 사는 가난한 선비인 허생은 10년 공부의 계획을 잡고 공부를 하지만 부인의 타박에 못 이겨 장사하기 위해 그 마을 최고의 갑부인 변씨를 찾아간다. 비록 차림새가 남루하나 그의 행동이나 말이 범상치 않음을 안 변씨는 순순히 그에게 만 냥을 빌려준다. 허생은 그 돈을 이용해 처음에는 안성의 과일을 모조리 사서 비싼 값에 팔고, 다음에는 제주도의 말총을 모두 사들여 역시 비싼 값으로 판다. 매점·매석으로 막대한 이윤을 남긴 허생은 그 후 산에서 도적질을 하는 산적들을 회유해 무인도에 마을을 세우고 산적들을 그곳에 살게...
참고 자료
류종렬 외, 『동서양고전의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박지원 저, 연암집 상, 돌베개, 2007
박지원 저, 연암집 하, 돌베개, 2007
류종렬 외, 『동서양고전의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연암집, 세트(2007), 출판사: 돌베개
박지원, 『연암집 상•중•하』, 돌베개, 2007.
오영교, ‘연암 박지원의 사회,경제 개혁론에 대한 일고찰’, 한국사회역사학회, 2013.
이정탁, ‘연암소설에 나타난 풍자연구’, 안동교육대학, 1969.
류종렬 외, 『동서양고전의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