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요약 3. 최근 사회복지행정의 발전 현황을 알 수 있는 1개 사례 발굴 및 소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1. 1990년대 이후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수요가 촉발된 요인
1.2.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요약
1.3. 최근 사회복지행정의 발전 현황을 알 수 있는 1개 사례 발굴 및 소개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1. 1990년대 이후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수요가 촉발된 요인
1990년대 이후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수요가 촉발된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자원의 활성화와 1998년「사회복지공동모금법」의 시행이다. 삼성복지재단과 같은 민간 복지재단이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재정지원을 하면서 사회복지기관의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1998년 민간 주도의 공동모금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사회복지기관들은 공동모금회로부터 지원을 받기 위해 프로그램 관리 및 재정관리에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이는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다.
둘째,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에 대한 평가제도의 시행이다. 1997년 정부는 「사회복지사업법」을 개정하여 3년에 1회 이상 사회복지시설을 평가하도록 규정하였다. 이러한 평가제도의 시행은 사회복지기관이 인사관리, 조직관리, 재정관리, 프로그램 관리 등 사회복지행정 전반에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기관 운영의 효율성, 능률성, 책임성 제고를 위해 사회복지행정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셋째,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의 수적 증가이다. 1990년대 이후 사회복지시설과 기관의 수가 증가하면서 지역사회에서 기관 간 경쟁이 치열해졌고, 한정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사회복지기관의 현대적 관리 및 경영기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고, 사회복지행정의 수요도 함께 늘어났다. 특히 민영화와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라 사회복지 영역에서 민간의 역할이 커지면서, 사회복지기관의 양적 증가가 두드러졌다.
이와 같이 1990년대 이후 사회복지기관에서는 민간자원의 활성화,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 평가제도의 시행,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의 수적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수요가 촉발되었다.
1.2.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요약
2000년 이후 한국의 사회복지정책 환경에는 급속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저출...
참고 자료
2024년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보건복지부
문병기, 남석훈(2023).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KNOU Press
복지포털 복지로. https://www.bokjiro.go.kr/
유해숙(2023). 지역사회복지론. 서울: KNOU Press
윤홍식(2019). 한국 복지국가의 기원과 궤적 3:신자유주의와 복지국가 1980년부터 2016년까지. 서울 : ㈜사회평론아카데미
그 외에 참고문헌은 구매 후 확인이 가능합니다.
문병기, 남석훈(2024). 사회복지행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행정안전부(2022). [보도자료] 범정부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 추진단」 출범으로 복지·안전 사각지대 해소 나선다.
박영재. 부천시, 스마트 복지안전 공동체 구축 대민기관 맞손. 중부일보, 2023년 9월 14일자. https://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611213 (검색일: 2024.4.6.)
구봉우. 전남도, 농촌형 스마트 복지·안전마을 공동체 구축. 농축유통신문, 2023년 9월 8일자. https://www.am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023 (검색일: 2024.4.6.)
이설. 읍면동 주민 복지도 촘촘하게...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 회의 개최. 뉴스1, 2024년 2월 22일자. https://www.news1.kr/articles/?5328382 (검색일: 2024.4.6.)
문병기·남석훈. (2024). 「사회복지행정론」, 개정판: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행정안전부 https://www.mois.go.kr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범정부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 추진단」 출범으로 복지·안전 사각지대 해소 나선다
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97624
민·관합동 범정부적 역량 모아 복지·안전 사각지대 해소
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101044
읍면동 스마트 복지·안전서비스 모델 지원사업, 22개 지자체에서 출발
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102011
지자체 중심의 민-관 협력으로 위기가구 촘촘하게 지원
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104097
주민 최접점인 읍면동에서 주민 안전 관리할 수 있도록 계속 지원
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107799
정부와 민간이 힘을 모아 읍·면·동 주민들의 복지·안전 촘촘하게 챙긴다
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107265
‘린’ 소주 50만 병에 위기가구 발굴 위한 라벨 붙는다
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107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