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 론
산업화 및 도시화에 따라 현대 도시는 도시토지의 공급에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지하 공간에 다양한 시설물을 설치하게 되었다. 지하에 전기 및 통신 시설물, 가스관, 상하수도관 등이 매설되면서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보 부족과 데이터 부족으로 인해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지하시설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의 현황과 관리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지하시설물 측량 및 DB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확하고 효율적인 관리 체계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2. 지하시설물 관리
2.1. 지하시설물 현황
지하시설물은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도시토지 공급 한계로 인해 지하에 설치되는 시설물이 증가하고 있다. 전기, 통신, 상하수도 등 다양한 지하시설물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으며, 이에 따른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부정확한 경우가 많아 실제 건설 현장에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지하시설물에 대한 공급 체계 유지와 효과적인 관리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2.2. 지하시설물 관리의 필요성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현대 도시에는 다양한 지하시설물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심의 공간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지상보다는 지하에 상하수도, 가스, 통신, 전력 등의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이로 인해 도시 지하에는 다양한 시설물이 얽혀 있어 시설물의 관리와 유지보수가 매우 중요해졌다.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관리 체계가 미흡할 경우 굴착 공사 중 시설물이 훼손되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대구 가스 폭발 사고, 아현동 가스 폭발 사고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고 효과적인 시설물 관리를 위해서는 지하시설물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DB 구축이 필수적이다.
또한 지하시설물의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안전사고와 함께 시설물 관리 및 보수에 대한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지하시설물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시설물의 체계적인 점검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지하시설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고 시설물의 수명을 연장시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3. 지하시설물 측량
3.1. 측량 준비 단계
측량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먼저 작업범위와 품질관리 계획을 수립한다. 작업범위는 측량 대상과 목적을 명확히 하고, 품질관리 계획에는 정확도 목표 및 관리 방안을 포함한다.
인원과 장비 투입 계획도 수립한다. 측량에 참여할 인력의 역할과 자격을 정하고, 사용할 장비의 종류와 수량을 결정한다. 장비는 측량 목적과 대상에 적합한 것을 선정하여 충분한 수량을 확보한다.
현장답사를 통해 작업지역의 특성을 파악한다. 도로 상황, 교통량, 지형지물 등을 조사하여 측량에 장애가 될 수 있는 요인을 사전에 확인한다. 관계기관과의 협조 체계도 구축한다.
관련 기초자료를 충분히 수집한다. 지적도, 토지이용계획도, 공사 관련 도면 등 측량에 필요한 정보를 확보한다. 기존 자료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검토하여 추가 조사 여부를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세부공정계획을 수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