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성인간호학실습으로 정형외과 병동에 근무하면서 노인들에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노화와 관련된 만성질환인 퇴행성 슬관절염과 심혈관 · 혈액장애 기저질환으로 흔하게 볼 수 있는 고혈압을 사례 케이스로서 선정하고 자료 수집을 진행하게 되었다. 수십 년간 노년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병원을 찾는 환자 대부분이 나이가 많으신 분이셨고 실제로 노인들이 지닌 만성질환에 대해서 접하고 관찰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다. 65세 이상의 노년인구에 주로 발생하는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입원한 대상자의 간호과정과 그에 맞는 통증 관리, 독립적인 기능 유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 계획을 세우기 위해 간호사로서 어떤 지식과 술기를 지녀야 하는지 올바른 근거를 토대로 보고서를 작성하게 되었다. 또한 성인 4명 중 1명 이상이 해당되고 40세 이후로부터 비율이 증가되는 고혈압에 대해서 문헌고찰을 진행하여 올바른 간호행위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2.1. 고혈압
2.1.1. 정의
고혈압(Hypertension, HTN)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상태로,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서 뇌졸중, 심근경색증, 울혈성 심부전, 콩팥병,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치명적인 질환을 유발하므로 조기진단과 효과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또한 악성 고혈압은 수축기 200mmHg, 이완기 11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우리나라 30세 이상 고혈압 유병률은 2016년 국민건강 영양조사에 따르면 남자 35%, 여자 22.9%로 남자의 경우 전년도보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1.2. 원인 및 병태 생리
고혈압의 원인 및 병태 생리는 다음과 같다.
고혈압은 발생원인에 따라 1차성 고혈압과 2차성 고혈압으로 분류된다. 1차성 고혈압은 전체 고혈압 환자의 90~95%를 차지하며,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유전적 성향, 나이 증가, 고염분 섭취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2차성 고혈압은 기존에 앓고 있던 다른 질환에 의해 고혈압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신장질환이나 부신 종양, 일부 선천성 심장질환 등이 2차성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일부 약물 복용도 2차성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2차성 고혈압은 전체 고혈압 환자의 5~10% 정도를 차지한다.
고혈압의 발병 원인은 크게 조절 가능한 요인과 조절 불가능한 요인으로 나뉜다. 조절 가능한 요인으로는 비만, 음주, 흡연, 운동 부족, 스트레스, 고염식 등이 있다. 이에 반해 나이, 성별, 가족력, 인종 등은 조절할 수 없는 요인들이다.
혈압은 심장의 수축력과 전신혈관의 저항에 의해 결정된다. 심장이 수축할 때 혈액을 밀어내는 힘인 심박출량과 혈관이 혈액을 흐르게 하는 정도인 전신혈관저항의 상호작용에 의해 혈압이 조절된다. 이 중 어느 한 요인이라도 변화되면 혈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고혈압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