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아동간호학 실습 개요
아동간호학 실습은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환아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은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β세포의 장애로 인해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다뇨, 다갈, 다식 등의 3다증상과 함께 탈수, 전해질 불균형, 체중 감소 등이 나타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이번 실습을 통해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에 대해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한다.
1.2.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의 정의와 특징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제1형 당뇨병)은 췌장 랑게르한스섬 베타세포의 기능이 소실되어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외부에서 인슐린을 투여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는 질환이다. 주로 소아와 청소년에게 발병하며,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유발할 수 있다. 인슐린 부족으로 인해 혈당이 상승하고 지방과 단백질 대사에도 문제가 발생하며, 이로 인한 증상으로 다뇨, 다갈, 다식 등이 나타난다. 따라서 인슐린 투여, 적절한 식이요법, 규칙적인 운동 등의 관리가 필수적이다.
1.3. 연구 필요성 및 목적
당뇨병이라 함은 그저 다 큰 성인만 걸리는 질환인 줄로만 알았으나 간호학과에 진학하여 전공을 공부하면서 소아청소년에게도 흔히 발생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난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10년 치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약물치료 중인 '1형 당뇨병' 환자가 2006년 4,075명에서 2015년 5,338명으로 10년 새 31% (1,262명)이나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우리나라에서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는 문제이며 이번 실습을 통해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에 대해 더욱 더 자세히 알고 싶었다.
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2.1. 원인 및 관련요인
아동에게 발생하는 당뇨병은 대부분 인슐린 의존형인 1형으로,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β세포의 장애로 인한 인슐린의 절대적 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유전적 소인을 가진 아동이 볼거리, 풍진, 감기 등 바이러스 감염에 노출되면 췌장이 손상되어 발병할 수 있다. 하지만 2형 당뇨병에 비해 유전적 요인은 매우 낮으며, 6번 염색체에 HLA type이 있는 경우에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인슐린이 부족하게 되면 간에 저장되어 있던 당원(glycogen)이 포도당(glucose)으로 전환(glycogenolysis)되면서 고혈당(hyperglycemia)이 발생한다. 혈중 포도당이 신장의 역치(160~180mg/dL)를 초과하면 소변에서 포도당이 나오게 된다(당뇨, glycosuria). 고혈당으로 인해 혈액의 삼투압이 높아지면 조직에서 혈관으로 수분이 이동하여 소변량이 많아진다(다뇨, polyuria). 또한 다량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