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보이스 도구를 활용한 수술실 간호사의 공감 및 의사소통 향상과 간호사 만족도 증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포토보이스 도구를 활용한 수술실 간호사의 공감 및 의사소통 향상과 간호사 만족도 증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1.3. 연구 방법

2. 포토보이스 도구를 활용한 간호사의 공감 및 의사소통 향상
2.1.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공감
2.2.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 만족도
2.3.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직무 스트레스
2.4.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비판적 사고성향

3. 연구 결과
3.1.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공감, 심리적 안녕감, 직무 만족도 관계
3.2. 간호사의 감성지능, 직무 스트레스, 환자안전문화인식, 비판적 사고 관계
3.3.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4.1.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및 공감 향상 방안
4.2.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 및 직무 만족도 증진 전략
4.3.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직무 스트레스 관리
4.4.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비판적 사고 강화

5. 결론
5.1. 연구 결과 요약
5.2. 간호 교육과 실무에의 함의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간호사의 협력 및 조정을 위한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의료 조직 구성원 중 특히 간호사는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직접 의사소통하며 간호를 제공하고, 다른 조직 구성원들과의 상호 협력 및 의사소통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최근 의료 제공자 사이의 부적절한 의사소통이 의료 상 오류를 가져오는 사례가 많기에, 의료의 질 관리를 위해서라도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필수적이다. 수술실은 여러 의료진이 참여하여 복잡한 침습적 수술환자 안전의 위험이 높은 부서 중 하나이며, 의료진의 부적절한 의사소통이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공감 역량이 간호업무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감성지능, 환자안전문화인식, 비판적 사고성향 등이 간호업무성과와의 관련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1.2. 연구 목적

포토보이스 도구를 활용한 간호사의 공감 및 의사소통 향상을 통한 간호사 만족도 증진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공감은 전인적인 이해를 전제로 환자들에게 근거기반의 간호지식과 의사소통 기술을 이용하여 돌봄을 수행하는데 중요하다.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경우 종양 치료의 다양성, 새로운 치료 방법 개발 등으로 인해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지식 습득이 요구되며, 간호 과정에서 환자와의 라포 형성과 공감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감성지능은 자기와 타인의 감성을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또한 정신건강을 추구하고 긍정적으로 자아실현하는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사람은 삶의 만족도도 높으며, 자신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신뢰성을 바탕으로 타인과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환자와 정서적 유대를 형성하고 발전시켜 돌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역량 또한 의사소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심리적 안녕감, 공감 역량이 환자 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간호업무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1.3. 연구 방법

연구대상자 및 방법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2차 의료기관 500병상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이다. 6개월 이상인 간호사 중 직접 간호가 주 업무인 간호사와 책임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임상 경력 6개월 이상이며 암환자에게 직접 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 서울, 경기, 부산 소재 16개의 종합병원 이상의 의료기관 내 수술실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일반병동, 중환자실, 응급실에서 임상경력 1년 이상인 경기도 소재 상급종합병원 1개소, 종합병원 1개소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G*power program을 이용한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있으며, 각 특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와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도구로는 Downs와 Hawen이 개발한 의사소통 만족도, Ryff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 Hur가 한국적 상황에 맞게 개발한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척도 GICC (Global Communication Competence)-15, Lee와 Seomun의 타당도가 확인된 도구, Caring Behaviors Inventory (CBI)-24, Wong과 Law가 개발한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WLEIS), Kim과 Gu가 개발하고 Choi가 수정·보완한 직무 스트레스 도구, Rubin 등이 제시한 8가지 의사소통 능력 구성 개념에 7가지 개념을 합하여 Heo가 수정·보완한 15개 문항의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GICCS), Van de Ven과 Ferry의 개인성과 구성요소에 기초하여 Ko 등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간호업무성과 도구, Ahn이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도구, University of Texas Houston Health Science Center에서 수술실용으로 개발한 Safety Attitude Questionnaire (SAQ)를 Song이 한글로 번역한 도구, Park이 개발한 수술실 간호오류 위험경험 사정도구, Lee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환자안전역량 측정도구를 Jang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이용, Yoon이 개발하고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최종 27문항으로 구성된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 Hur가 개발하고 타당도 검증을 보고한 포괄적인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GICC)를 사용하고 있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SPSS WIN 21.0, 22.0, 23.0, 25.0 프로그램,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선형회귀분석, independent t-test, ANOVA와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ann-Whitney U test와 Kruskal-Wallis 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 hierarchical regression을 수행하고 있다.


2. 포토보이스 도구를 활용한 간호사의 공감 및 의사소통 향상
2.1. 간호사의 의사소통 ...

...


참고 자료

김미정, 강천국. (2022). "의료기관 조직내 간호사의 의사소통 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10). 322-331.
홍미화, 한수정. (2021).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돌봄 행위의 관계에서 공감 역량의 매개효과." 기본간호학회지. 28(4). 411-420.
김효진, 박정숙. (2022).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감성지능, 직무스트레스, 의사소통능력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28(1). 57-66.
서지인, 김유정. (2021). "수술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환자안전문화인식이 간호오류 경험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7(3). 181-190.
배지연, 배선형. (2022).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9(2). 159-169.
김인숙 외(2015). 간호관리학. 서울:현문사
엄영희 외(2010). 간호관리학. 수문사
황성우(2017). 간호관리학 실습지침서
간호표준(2013). 대한간호협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