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뇌경색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뇌경색의 정의와 연구 필요성
1.2. 연구 기간 및 방법
2. 문헌고찰
2.1. 뇌경색의 원인
2.2. 뇌경색의 병태생리
2.3. 뇌경색의 증상 및 징후
2.4. 뇌경색의 진단 방법
2.5. 뇌경색의 치료
2.6. 뇌경색 환자의 간호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2. 간호과정 적용
3.2.1. 환자의 간호문제
3.2.2. 간호문제 해결 과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뇌경색의 정의와 연구 필요성
뇌경색은 뇌의 혈관이 막혀서 혈액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뇌세포로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지 못하거나 또는 뇌혈관이 터져서 출혈이 발생하면서 뇌가 압박 받거나 뇌가 손상 받기 때문에 생기는 질환이다. 뇌경색은 그 자체로 높은 사망률과 다양한 정도의 후유장애를 남기는 질환이므로, 뇌경색 환자의 치료와 재활에 드는 경제적인 문제 뿐 아니라 본인 및 가족까지 모두 평생을 고통 받게 될 수 있다. 그럼에도 생명을 유지하는 치료는 시행되고 있지만 후유장애에 대한 특별한 치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뇌경색의 예방, 치료, 재활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1.2. 연구 기간 및 방법
이 기간 내 연구는 2019년 3월 18일부터 2019년 3월 22일까지 광주 보훈병원 32병동에 입원했던 설OO님을 대상으로 직접 환자를 관찰하고 면담하였으며 EMR을 통해 대상자의 자료를 수집하여 이루어졌다.
2. 문헌고찰
2.1. 뇌경색의 원인
뇌경색의 원인은 동맥경화증, 동맥염 등으로 혈관 벽에 찌꺼기가 생겨 혈류장애를 가져오는 경우와 심장 등에서 혈괴가 떨어져서 뇌혈관을 갑자기 폐쇄되어 혈류장애가 나타나는 경우이다. 뇌 혈전증(cerebral thrombosis)은 뇌에 관련된 혈관의 동맥경화와 같은 동맥 자체의 이상에 의해서 동맥이 막히는 것이다. 뇌 색전증(cerebral embolism)은 심장질환이 있거나 목의 혈관에 동맥경화 등의 혈전이 있다가 떨어져 색전물(embolus)로 떠돌다가 작은 뇌혈관에 걸려 막는 것이다. 전신 뇌혈류저하에 의한 뇌 허혈은 빈혈, 저혈압, 쇼크 등으로 인해 뇌로 가는 혈류가 떨어져 뇌의 전반적인 허혈상태를 초래하는 것이다.
2.2. 뇌경색의 병태생리
뇌혈류는 신체 대사 요구에 맞춰 750ml/min 정도로 일정하게 자동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혈압과 이산화탄소량, 산소량 및 수소이온 농도 등의 변화에 따라 반응한다. 이러한 자동조절기전은 수축기압 50~160mmHg에서 효율적으로 나타나는데, 혈관의 폐색으로 인한 뇌혈류의 감소로 산소공급이 감소되면 신경세포는 호기성 호흡을 유지하지 못하고 혐기성 호흡을 함에 따라 충분한 ATP를 생성하지 못하면서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게 되어 pH가 낮아지고 기능을 멈추게 된다.
초기에 경색부위는 괴사되고 그 주변은 반음영 영역이 된다. 허혈은 경색부위에서 세포 내 칼슘의 양을 증가시키고 글루탐산염을 유리하게 되는데 이것이 지속되면 손상과정이 활성화되어 세포막이 파괴되고 더 많은 칼슘과 글루탐산염을 유리함으로써 혈관을 수축시키고 자유기를 생성하게 된...
참고 자료
최영희(1999),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서울,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편저(1994),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
김금순 외(2017), 성인간호학 Ⅰ, 파주, 수문사
김금순 외(2017), 성인간호학 Ⅱ, 파주,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