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형마트의 광고방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대형 마트의 광고방식
2.1. 전통적인 광고방식
2.1.1. TV 광고
2.1.2. 라디오 광고
2.1.3. 인쇄 광고
2.2. 디지털 광고방식
2.2.1. 소셜 미디어 광고
2.2.2. 검색 엔진 최적화
2.2.3. 이메일 마케팅
3. 소비자의 효율적인 광고방식
3.1. 개인 맞춤형 광고
3.2. 인터랙티브 광고
3.3. 위치 기반 광고
3.4. 콘텐츠 마케팅
4. 대형 마트 광고 방식의 사례 연구
4.1. 이마트의 '피크닉 마케팅'
4.2. 월마트의 '데이터 기반 맞춤형 광고'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대 사회에서 대형 마트는 우리 삶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다양한 상품과 더불어 서비스를 제공하여 많은 소비자에게 편리함과 더불어 넓은 선택의 폭을 제공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상당히 큰 규모의 고객층을 형성했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소비자들을 유지하고 또 다른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광고 활동이 무조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광고'라는 것이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관리하고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도구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대형 마트에서 광고를 한다는 것은 많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2. 대형 마트의 광고방식
2.1. 전통적인 광고방식
2.1.1. TV 광고
TV 광고는 시청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경험을 제공하여 강력한 인상을 남길 수 있다. 이는 대형 마트의 주요 제품이나 프로모션을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방법이다. TV 광고를 통해 대형 마트는 주말 특가 행사, 계절별 할인 행사, 연말 대규모 세일과 같은 이벤트를 대중에게 홍보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는 짧은 시간 동안 강렬한 시각적, 청각적 자극을 통해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며, 짧고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이번 주말 특가 할인"이라는 문구와 함께 할인율을 제시하거나, 가족 단위의 구매 장면을 통해 편리한 쇼핑 경험을 강조하는 방식이다. 또한 TV 광고는 대형 마트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소비자들에게 신뢰도를 강화하는 데 유리하다. 특히 가족 단위 소비자들이 주말 저녁 시간대에 TV를 시청하는 것을 고려할 때, TV 광고는 이들에게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다만 TV 광고는 비용이 매우 크고, 광고를 시청한 소비자가 반드시 마트를 방문하거나 구매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2.1.2. 라디오 광고
라디오 광고는 운전 중이거나 집안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다. 짧고 간결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효과적이며, 특히 프로모션이나 할인 정보를 알리는 데 유용하다. 라디오 광고는 소비자에게 청각적 경험을 제공하여 브랜드의 이미지와 메시지를 각인시킬 수 있다. 또한 지역 라디오 채널을 활용하면 특정 타깃 고객층에게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라디오 광고는 TV 광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작 및 송출 비용이 낮으며, 보다 신속하게 제작하여 집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시각적 요소가 없어 메시지의 전달력이 다소 약할 수 있으며, 청취자의 주의를 끌기 위해서는 창의적이고 임팩트 있는 크리에이티브가 필요하다. 또한 라디오 청취 시간대와 광고 시간대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타깃 고객에게 도달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라디오 광고는 다른 광고 수단과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 활용될 때 ...
참고 자료
김광수 권은아, 광고학, 하나래아카데미, 2014
정어지루, 광고학, 형성출판사, 2006
광고의 8원칙, 오두환, 대한출판사, 2020.11
심성욱, 전종우 외 1명. (2021). 광고학개론. 서울경제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