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한결핵협회 개요
1.1. 설립 배경 및 연혁
대한결핵협회는 1953년 11월 6일 민간 항결핵단체로 창립되었다. 결핵예방법 제32조에 그 설립근거를 두고 있으며, 설립 당시부터 결핵의 예방과 발견 및 진료 사업에 역점을 두었다. 50년 동안 본부 산하에 결핵연구원과 12개 시·도지부, 10개 복십자 의원을 두어 계몽지도 사업, 엑스선 검진, 결핵균 검사, 환자 치료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적인 사업을 전담하며 국가결핵관리사업을 효율적으로 뒷받침해 왔다. 또한 국제항결핵 및 폐질환 연맹(IUATLD)에 1954년 가입하고, 1965년부터 매 5년마다 실시된 전국 결핵실태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결핵 문제의 크기 및 동태를 파악하고 관리대책 수립에 도움을 주었다. 1970년에는 결핵연구원을 설립하여 결핵관리에 필요한 기술과 정보를 지원하고, 1987년부터는 BCG 백신 생산 업무를 담당하며 국가 결핵관리사업에 큰 기여를 해왔다.
1.2. 조직 구조
대한결핵협회는 조직 구조가 체계화되어 있다. 본회는 결핵연구원과 12개 시·도지부, 10개 복십자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핵연구원은 역학부, 기술협력부, 미생물부, 백신생산실, 서무과의 3부5과1실로 편성되어 있다. 시·도지부와 복십자 의원들은 결핵 예방과 환자 발견, 진료 및 치료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이처럼 중앙과 지역 간 긴밀한 협조체계를 갖추고 있어 결핵 퇴치를 위한 국가적 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2. 대한결핵협회의 활동
2.1. 결핵 예방 및 조기발견 사업
대한결핵협회는 결핵의 예방과 발견 및 진료 사업에 역점을 두어 왔다. 특히 엑스선 검진, 결핵균 검사, 환자 치료 등을 통해 결핵 문제의 크기와 동태를 파악하고 그 추이를 살펴보며, 국가 결핵관리 대책 수립과 향후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 있다.
협회는 20여 대의 이동 엑스선 검진차량을 활용하여 농어촌 취약지구와 도시빈민층 주민들을 대상으로 검진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결핵예방법 및 학교보건법에 의거하여 전국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흉부 엑스선 검진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발견된 활동성 결핵환자들을 보건소에 통지하여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 조기 발견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더불어 정부의 결핵관리사업에 필요한 의료기술을 지원하고 결핵관리의 표준화를 도모하는 등 결핵관리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보건소 순회 지도, 보수교육 실시 등을 통해 결핵관리 전반에 걸쳐 기술 및 행정 지도를 제공하여 결핵관리 사업의 효율적인 증진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결핵연구원에서는 전국 규모의 결핵실태조사를 수행하여 주기적으로 우리나라 결핵 문제의 규모와 추이를 파악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가 결핵관리 대책 수립과 향후 방향 설정에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대한결핵협회는 체계적인 결핵 예방과 조기발견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결핵 문제의 해결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2.2. 결핵환자 진료 및 치료 사업
본 협회의 결핵환자 진료 및 치료사업은 1955년 결핵진료소와 1967년 서울지부 복십자 의원이 개설되면서 본격적으로 착수되었다. 현재 본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수원, 강원 및 전북지부 등 10개 복십자 의원에서 환자의 진료와 치료 및 수탁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28개 불우 난치성 결핵환자수용시설에서의 진료를 지원하고 있다.
1955년 결핵진료소 개설과 1967년 서울지부 복십자 의원 개설 이래로 본 협회는 결핵환자 진료와 치료 사업에 힘써왔다. 현재 전국적으로 10개의 복십자 의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의 진료와 치료, 수탁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28개의 난치성 결핵환자 수용시설에 대한 진료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본 협회는 결핵환자를 대상으로 다각도의 진료와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체계적인 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