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복지 향상과 사회행동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1.2. 사회복지실천에서 지역사회 접근의 중요성
2.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2.1.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2.1.1. 지역사회개발 모델
2.1.2. 사회계획 및 정책 모델
2.1.3. 사회행동 모델
2.2. 지역사회 실천 모델의 특성 및 비교
3. 사회행동 모델의 장단점 고찰
3.1. 사회행동 모델의 장점
3.2. 사회행동 모델의 단점
4. 지역사회복지 향상을 위한 사회행동의 필요성
4.1. 지역사회 내 자원과 권력 재분배의 필요성
4.2. 소외계층의 권리 옹호와 참여 증진
4.3.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집단적 행동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지역사회복지는 지역 거주민이 살기 좋은 지역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는 주민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사회복지 지식과 기술 등을 체계적으로 조직하여 개입하고 전문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지역사회복지는 지리적 범위가 설정된 지역사회라는 공간을 기반으로 하지만, 현대사회에서 행정 구역에 따른 지리적 범위 기준이 모호해지고 있다. 이에 공동의 바람과 필요를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복지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공동 목적성과 공동체라는 현대적 특성으로 지역사회조직을 활용한 지역사회 문제해결과 공동의 복지 향상이 바람직하다. 던햄(Dunham, 1970)은 지역사회조직의 사업 목표를 욕구-자원 간 조정과 균형, 주민 참여와 자조 능력 개발, 집단 간 관계와 의사결정권 균형 분배로 정리했다. 로스만은 지역사회조직의 목표를 과업 중심과 과정 중심으로 구분하였는데, 과업 중심은 구체적 사업 완성이나 문제 해결, 과정 중심은 체제 유지이다.
1.2. 사회복지실천에서 지역사회 접근의 중요성
사회복지실천에서 지역사회 접근의 중요성이다.
사회복지실천에서 지역사회는 사회문제가 발생하는 장소이자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이다. 지역사회복지는 지역 거주민들이 살기 좋은 지역사회가 되도록 하는 것이 기본적인 목표이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는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복지 지식과 기술을 체계적으로 조직하여 개입하고 전문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지역사회복지에서 중요한 것은 지역사회라는 공간의 지리적 범위를 미리 상정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급격한 산업화와 정보화로 인해 행정구역에 따른 지리적 범위 기준이 점점 모호해지고 있다. 즉, 지역적 기준을 초월한 공동의 바람과 필요를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복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공동사회복지로의 개입과 실천이라는 영역 확장적 복지가 점차 실행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공동 목적성과 모두가 공동체라는 현대적 특성으로 지역사회조직을 활용하여 지역 사회 문제해결과 더불어 공동의 복지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던햄은 지역사회 조직의 사업 목표를 세 가지로 정리했는데, 넓은 범위의 욕구 충족, 주민의 참여와 자조 및 협동 능력 개발 강화, 지역사회와 집단 간 관계와 의사결정권 균형 분배 등이다. 로스만은 이를 과업 중심 목표와 과정 중심 목표로 구분했다. 과업 중심 목표는 구체적인 사업 완성이나 기능적 문제 해결에 관심을 두고, 과정 중심 목표는 체제 유지 기능 강화에 관심을 둔다.
2.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2.1.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2.1.1. 지역사회개발 모델
지역사...
참고 자료
지규옥(2015).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로서의 협동조합운동”,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 Vol.42 No.1
방경숙(2015). “지역사회복지 관점에서 본 부산의 마을만들기 사례연구”, 가야대학교, 국내 석사 논문.
김범수 외,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06.
이인재, 한국지역복지실천론, 나눔의집, 2006.
https://blog.daum.net/saigonyoon/6143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최미영, 정무성, 김종명 공저)
사회복지개론 (유범상, 김종해, 여유진 공저)
논리모델을 적용한 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 기확과 평가 (태화복지재단 세미나 자료)
‘로직 모델’에 담긴 ‘사람 중심’을 말하다 (정병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