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문헌정보학은 문헌을 수집, 조직, 제공하는 등의 문헌을 다루는 모든 정보를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정보통신 시대가 도래한 이후 기하급수적인 정보 기술의 발전과 변화를 겪으며 정보 홍수의 시대라고 불리는 현재, 정보를 관리하고 분석하는 학문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번 보고서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두 국가의 교육과정의 특성과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2. 본론
2.1. 미국과 우리나라의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비교의 필요성
문헌정보학은 문헌을 수집, 조직, 제공하는 등의 문헌을 다루는 모든 정보를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은 미국의 교육모델에 큰 영향을 받아 도입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미국의 교육모델이 문헌정보학 교육의 시작과 변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양국의 교육과정을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또한 많은 OECD 국가에서 문헌정보학의 교육과정 개설과 개편 과정에서 미국의 사례를 분석하고 각 국가 사례에 적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한국과 미국의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을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
2.2. 한국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한국에서 문헌정보학은 대학 학부와 대학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1957년 연세대학교에서 교육과정을 개설한 것을 시작으로 2000년대까지 늘어나 현재 30여 개의 대학에 개설되어 있다. 학부에서는 크게 도서관학, 정보학, 기록학, 정보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교과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도서관학에는 도서관 경영, 서지학, 장서관리론, 디지털도서관 운영론, 도서관 프로그램 개발론, 사서실습 등의 교과목이 있다. 정보학에서는 정보학개론, 정보조직 기초, 정보문해, 정보검색론, 정보매체론 등의 과목을 다룬다. 기록학에는 기록학개론, 자료보존론, 지식보존론, 자료보존론 등이 있고, 정보과학 분야에서는 데이터베이스설계, 데이터사이언스개론, 데이터큐레이션, 데이터분석 및 시각화 등의 과목을 다룬다. 이처럼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은 전통적인 도서관학과 함께 정보학, 기록학, 정보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
2.3. 미국 문헌정보학 교육과정과 비교
미국 역시 문헌정보학은 대학기관이 교육과정의 중심축을 이끌고 있다. 미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은 1886년을 시작으로 한국보다 많은 수의 교육기관과 교육자 수를 가지고 있다. 이후 교과목의 다양화, 교육자의 규모 및 전공 분야의 확대 등을 통해 교과과정의 개편을 지속해 가고 있다. 교과목은 한국의 과목과 더불어 다양한 분야의 연계 과목을 추가로 가지고 있다. 한편 한국과 달리 미국에서는 대학의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