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학 사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1. 질병의 정의
1.2. 질병의 원인
1.3. 진단
1.4. 치료
1.5. 합병증 및 예방법
2. 간호사정
2.1. 간호력
2.2. 요구사정
2.3. 신체사정
2.4. 진단검사
2.5. 투약
3. 간호과정
3.1. 시나리오
3.2. 간호과정 #1
3.3. 간호과정 #2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1. 질병의 정의
사시(strabismus)는 두 눈이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시력 장애이다. 한 쪽 눈이 정면을 바라볼 때 다른 쪽 눈은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돌아가거나 위 또는 아래로 돌아가게 된다. 항상 눈이 돌아가 있을 수 있지만 가끔 돌아간 눈이 어느 순간 정면을 주시하기도 하고 정면을 주시하던 눈이 돌아가기도 한다. 정상인 영아는 생후 3~4개월이 되면, 양쪽 눈을 동시에 하나의 시야에 고정시킬 수 있는 능력, 즉 양안시를 갖는다. 사시 때는 한쪽 눈이 고정점에서 벗어나는데 이러한 부정렬이 지속되면 약한 눈을 점차 사용하지 않게 되고, 결국 뇌는 그쪽 눈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을 억제한다. 사시는 소아에게 흔한 나타나는 현상으로, 국내 소아의 약 2%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좀 더 늦은 시기에 발병하기도 한다. 대부분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남녀 사이에 비슷한 비율로 나타난다.
1.2. 질병의 원인
사시의 원인은 다양하며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알려진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굴절이상, 선천백내장, 망막이상 등 눈 질환, 외상, 뇌성마비 등과 같은 뇌질환, 눈을 움직이는 근육인 외안근 자체의 문제 또는 외안근을 지배하는 신경인 마비되는 질환 등이 있다. 또한 사시 자체가 유전되기보다는 사시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이 유전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밖에도 환경적인 요인과 같은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사시의 원인은 다양하며 대부분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굴절이상, 선천백내장, 망막이상 등의 눈 질환, 외상, 뇌성마비 등의 뇌질환, 외안근 자체의 문제 또는 이를 지배하는 신경의 마비 등이 대표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사시가 직접 유전되기보다는 사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요인들이 유전되며, 이 외에도 다양한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사시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진단
안과 전문의는 사시검사인 프리즘 교대 가림 검사와 가림 안 가림 검사 및 필요에 따라서는 1시간 안대 가림 후 사시각 검사 등을 시행한다. 기본적으로 굴절검사 및 조절마비 굴절검사 그리고 세극등 검사 및 안저 검사를 한다. 프리즘을 통하여 사시각을 잴 수 있으며 16~18 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그 외에 특이한 마비사시나 동반되는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는 CT, MRI 등의 전신 검사가 필요하다. 부정렬을 확인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각막 광 반사 검사와 가림 검사이다. 각막 광 반사 검사(Hirschberg검사)는 플래시 불빛이나 검안경 불빛을 40.5cm 떨어진 곳에서 아동의 눈에 직접 비추는 검사인데 정상 눈 위치라면 불빛은 양쪽동공에 대칭으로 비취지나, 빛이 한쪽 눈의 중심을 벗어나 비추면 부정렬이 있는 것이다. 가림 검사에서는 아동이 한쪽 눈을 가리고 가까운 곳, 물체와 먼 곳, 물체를 바라볼 때 가리지 않은 눈이 움직이지 않으면 눈은 정렬상태다. 가리지 않은 눈이 움직인다면 부정렬이 있는 것이며, 그것은 더 강한 눈이 일시적으로 가려질 때 부정렬이 있는 눈이 물체에 시선을 고정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교대 가림 검사에서는 가리개를 앞뒤로 움직여가며 한쪽 눈에서 다른 쪽 눈으로 바꾸면서 검사하는데, 아동이 앞쪽의 한 지점을 응시하고 있는 동안 가리개를 떼면서 바로 가려져 있던 눈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정상정렬인 경우, 가리개를 한쪽에서 다른 쪽 눈으로 옮겨도 눈에 움직임이 없다. 부정렬이 있을 때는 가리개를 제거하면 눈이 움직인다. 이 검사는 눈의 움직임을 보기 위해 가리개를 앞뒤로 빨리 정확하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가림 검사보다 숙련을 요한다. 사시의 정도는 다양하므로 근거리와 원거리 모두에서 가림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1.4. 치료
사시는 두 눈을 정렬시켜 외모적 개선뿐만 아니라 물체를 입체감 있게 보는 양안시를 회복하기 위해 치료한다. 사시 치료는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비수술적 치료는 안경교정, 약물요법, 가림 치료 등이 있다. 안경은 ...
참고 자료
김영혜 외 12명,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2014년)
김영혜 외 12명, 『아동간호학 Ⅱ』, 현문사(2016년)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소아사시의 빈도 및 사시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안과학회장지. 제 22권. 제 4호, P847~853.
김영혜 외 12명, 『최신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2016년)
질병관리본부 국가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main.do
김연희 외 5명, 『쉽게 배우는 간호약리학』, 군자출판사(2007년)
Lilley외 2명 공저, 김수경, 권지윤 외 공역,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정담미디어(2015년)
김주현 외, 『Jarivis 건강사정』, 정담미디어(2008년)
성미혜 외 3명, 『비판적 사고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2015년)
박은영 외 공역,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2015년)
자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서울 : 현문사, 2013
KIMS online http://www.kimsonline.co.kr/
아동건강간호학, 홍경자 외
분당 밝은안과 http://bundangeye.tistory.com/
하영수 외 (2019). 아동청소년건강간호학. 신광출판사 p.139~184
하영수 외 (2019). 아동청소년간호학. 신광출판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