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동기 비뇨생식기 장애
1.1. 비뇨생식기 기능장애 아동
비뇨생식기 기능장애 아동은 신체적 발달 단계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나타낸다. 영아기 초기에는 소변 농축 기능이 미숙하지만 생후 6~12개월에 신장기능이 성인과 유사해진다. 미숙아의 경우 포도당, 나트륨, 중탄산염, 인의 재흡수가 감소한다. 신생아의 방광은 하복부의 복강에 있다가 초기 아동기에 골반강 내로 하강한다. 어린 아동은 요도가 짧아 요로 감염에 취약하며 4~5세경에 완전한 방광조절이 가능하다.
비뇨생식기 질환의 발생률과 유형도 아동의 연령과 성숙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신장기형은 여러 기관의 기형과 관련되며, 아동의 성장부진은 신장기능의 손상 징후일 수 있다. 소변검사와 혈액검사는 신장의 이상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비뇨생식기계 장애나 질환의 사정에 있어 간호사는 기능장애를 암시하는 증상을 관찰하고, 검사를 위해 소변과 혈액검사물 수집하는데 책임을 진다. 또한 아동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주의 깊게 측정하고 혈압을 유지하는 것이 간호사의 역할이다.
소변 수집은 일반적으로 12~24시간 동안의 소변검사물 수집, 첫 소변 버림으로 이루어지며, 배뇨방광요도조영술, 방사성동위원소영상검사 등 다양한 검사를 통해 신장과 비뇨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혈액요소질소, 요산 등의 검사 결과를 통해 신기능에 대한 평가도 가능하다.
이처럼 신체 발달 단계에 따른 비뇨생식기계의 특성과 기능 검사, 간호사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비뇨생식기 장애
1.2.1. 요로감염
요로감염은 아동의 가장 흔한 질환이며, 발열을 동반할 수 있다. 생후 3개월 이하의 남아는 어떤 연령의 남아, 여아보다 요로감염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요로감염의 미생물은 대장균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여아의 해부학적 구조상 요도가 짧아 요로 감염에 취약하다. 남아의 경우 생후 3개월 이하에서 포경 수술을 하지 않은 경우 요로감염의 위험이 높다. 요로의 구조적 기형이나 기능적 장애는 요로감염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방광이 완전히 비워지지 않거나 과도하게 팽만되어 있는 경우 요로감염의 위험이 증가한다. 요로감염의 증상으로는 악취가 나는 소변, 배뇨장애, 잦은 소변, 열, 구토, 설사, 과민성, 식욕부진, 식욕저하 등이 나타난다. 요로감염의 진단은 요분석과 요배양을 통해 이루어지며, 감염 부위에 근거하여 항생제 투여로 치료한다. 감염의 재발 방지를 위해 방관요관 역류나 방광경부 폐쇄와 같은 해부학적 결함이 있다면 수술적 교정이 필요할 수 있다. 요로감염의 예방을 위해서는 회음부 위생 관리, 꽉 조이는 옷 착용 자제, 소변 참지 않기, 충분한 수분 섭취 등이 중요하다.
1.2.2. 유뇨증
유뇨증은 아동의 발달상 문제로 인하여 발생하는 배뇨 조절력의 장애이다. 대부분의 경우 아동의 신경발달 지연으로 인하여 방광 수축을 억제하지 못하거나 깊은 잠으로 인하여 밤에 자발적으로 소변을 보지 못하는 경우에 나타난다. 또한 요로의 감염, 폐쇄성 병변, 만성 신부전과 같은 구조적 또는 기능적 문제도 유뇨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편도선의 비대나 수면 무호흡과 같은 수면장애도 유뇨증과 관련이 있다. 이혼, 사망, 형제의 출생과 같은 심리적 스트레스와 가족의 붕괴도 유뇨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요구나 강압이 너무 강한 보호자의 존재도 유뇨증의 원인이 된다. 유뇨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배뇨 후 똑똑 떨어지는 것, 배뇨하고 싶은 강한 욕구, 비효과적인 유출로 인한 똑똑 떨어트리는 행위의 지속, 드물고 고통스러운 배뇨, 배뇨하기 위해 뒤트는 행위, 웃을 때 실금하는 행위 등이 있다. 유뇨증의 진단은 신체검진과 가족력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에는 약물요법, 방광훈련, 구조적 원인에 대한 치료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아동의 방광 조절력을 향상시키고 피부 자극을 줄이며, 긍정적인 자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1.2.3. 구조적 결함
1.2.3.1. 방관요관 역류
방관요관 역류는 방광에서 요관으로 소변이 역류하는 현상이다. 요로감염의 과거력이 없어도 일상적인 검사에서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요로감염을 가진 아동 중 약 1/3정도에서 지속적으로 관찰된다. 이분척추를 가진 아동은 영아 때부터 역류가 관찰되는 경우가 많으며, 유전적 성향도 있다. 방광조영술이나 배뇨방광요도조영술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역류의 심각성과 아동의 성장에 따른 자연 해결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결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