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lympom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대상자 선정 이유
1.2. 질환에 대한 통계적인 자료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정의
2.1.2. 원인
2.1.3. 증상
2.1.4. 치료
2.1.5. 간호
2.2. 사례연구
2.2.1. 간호력
2.2.2. 간호과정
3. 결론
3.1. 느낀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대상자 선정 이유
몇 일 전 부모님께서 대장내시경검사를 하였는데, 아버지께서 대장에 용종이 4개가 발견되어 조직검사를 위해 용종을 제거하셨다. 이에 대해 걱정스러운 마음이 컸으며, 실습을 나간 병원에서 다양한 환자들을 만날 수 있었지만 colon adenoma 환자에게 더 관심이 갔다. 본 대상자는 49세의 가장으로 딸도 있어 우리 아버지와 비슷한 점이 많아 이 사례를 선정하게 되었다.
1.2. 질환에 대한 통계적인 자료
남성 colon adenoma 환자 수가 2008년 4만 3천명에서 2013년 8만 3천명으로 1.9배 증가하였다. 여성 colon adenoma 환자 수도 2008년 2만 5천명에서 2013년 4만 7천명으로 1.9배 증가하였다. 남성은 50대(28,814명) > 60대(22,923명) > 40대(14,088명) 순으로 많았고, 여성은 50대(17,279명) > 60대(13,588명) > 40대(6,712명) 순으로 많았다. 전 연령대에서 남성 환자 수가 여성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colon adenoma는 전 연령대에서 발생하지만, 특히 40세 이후부터 연령이 증가할수록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자의 나이가 48세이므로 colon adenoma가 호발하는 연령대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대상자의 아버지가 colon lymphoma로 수술을 받으신 병력이 있어 유전적 요인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정의
림프종(lymphoma)은 골수나 림프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의 악성 종양을 총칭하는데, 주로 림프구의 조절할 수 없는 중식을 초래하는 것이 특징이다. 진단은 커져 있는 림프조직의 생검을 통해 확진 가능하며, 조직소견에 근거하여 크게 호지킨병과 비호지킨림프종으로 분류한다. 즉, Reed-Sternberg 세포의 유무에 따라 이 세포를 포함하고 있는 림프종을 호지킨병, 그리고 나머지 림프종은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구분한다. 비호지킨 림프종에는 림프육종, 세망세포육종, 버킷 림프종 등이 포함된다. 어느 형태에서나 림프조직의 비대가 공통적으로 나타나지만 질환에 따라 임상소견이나 치료법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
2.1.2. 원인
림프종은...
참고 자료
김금순 외, 『여덟번째 수정판 성인간호학Ⅰ』, 수문사(2017)
김금순 외, 『여덟번째 수정판 성인간호학Ⅱ』, 수문사(2017)
성미혜 외 ,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2015)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서울아산병원, http://amc.seoul.kr/asan/depts/neo/
KIMS의약정보센터, www.kimsonline.co.kr
질병관리본부, http://cdc.go.kr/search/sEngine_new.jsp
[네이버 지식백과] 대장용종 [colon polyp]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투약 약물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원종순 외(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조경숙 외(2015),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