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문헌고찰
1.1. 진단명에 대한 문헌고찰
급성통증과 관련된 불안
급성 통증은 통증이 갑작스럽게 발생하고 그 강도와 지속 기간이 다양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소실되는 것을 말한다. 수술 후 통증, 조직 손상으로 인한 통증, 화상으로 인한 통증 등이 급성 통증의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급성 통증은 진통제나 최면술 등으로 관리가 가능하다.
급성 통증은 교감신경계를 자극하여 스트레스 반응과 유사한 생리적 변화를 일으킨다. 즉, 심박동수, 혈압, 호흡수가 상승하고 동공이 수축하며 발한이 나타나는 등 다양한 변화가 발생한다. 또한 불안정, 집중력 저하, 두려움 등의 행동적 반응도 나타날 수 있다.
수술 후 발생하는 급성 통증은 수술 절개 부위와 관련된 것으로, 소독이나 드레싱 교환 시 더욱 심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통증 강도가 심하고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 환자의 신체 활동에 제한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의 통증을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하여 불편감을 최소화해야 한다.
1.2. 수술명에 대한 문헌고찰
복강경 수술을 통한 충수절제술은 배꼽부위 복부에 0.5~1.5cm 크기의 작은 구멍을 여러 개 내고, 그 안으로 비디오 카메라와 각종 기구들을 넣고 시행하는 수술 방법이다. 전통적으로 복부에 큰 절개창을 열고 시행하는 개복 수술과 달리, "최소 침습 수술"이라고도 불리는 시술이다.
복강경을 통한 충수절제술의 준비사항으로는 수술 12시간 전부터 금식, 복강경 삽입 부위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제모, 그리고 환자에게 수술과정에서 개복술의 전환 가능성이 있음을 충분히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적응증으로는 진단적 복강경의 과정으로 시행, 천공이 동반된 충수염, 악성이 의심되는 경우, 심각한 유착이 의심되는 경우 등이 있다.
수술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환자 마취 후 배꼽 부위에 바늘을 찔러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기복 상태를 만든다. 2. 기복 상태에 수술공간을 확보한 뒤 수술 종류에 따라 필요한 개수만큼의 투관침을 뚫는다. 3. 투관침을 통해 카메라를 넣어 복강 내 영상을 보며 적절한 복강경 기구를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한다. 4. 절제된 조직 및 장기를 적출하고 지혈, 세척, 흡입 및 필요 시 배액관을 삽입하고 근막과 피부를 봉합한다.
복강경 수술을 통한 충수절제술의 장점은 1. 개복 수술에 비해 절개 부분이 작고 복부의 상처가 작아 미용적으로 좋다. 2. 수술 후 회복이 빨라 입원 기간을 단축시켜 일상 활동의 조기복귀가 가능하다. 3. 수술 후 호흡 기능 및 위장관 기능의 신속한 회복이 되며 호흡기계 합병증이 감소한다. 4. 수술 후 상처가 곪거나 창상감염이 거의 없고, 복강 내 유착의 빈도나 정도가 감소한다. 5. 수술 후 창상으로 인한 통증이 훨씬 적다.는 것이다.
하지만 복강경 수술을 통한 충수절제술의 합병증으로는 수술 부위 주위 농양이나 창상으로 인한 감염, 천공된 경우 복강 내 농양 등의 합병증으로 장기간 항생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피하기종, 폐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종합하면 복강경을 통한 충수절제술은 개복 수술에 비해 미용적 장점과 회복기간 단축 등의 장점이 있지만, 합병증 발생에 대한 위험도 있어 전문의의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한 수술이라고 볼 수 있다.
2. 간호과정
2.1. 대상자 정보
이름은 전OO이고 65세 여성 환자이다. 진료과는 GS이며, 수술일은 11월 11일로 Laparoscopic appendectomy를 받았다. 수술 전 진단명은 Acute appendicitis with localized peritionitis이었으며, 수술 후 진단명도 동일하다. 마취 시간은 08:30부터 시작하여 수술 시간은 08:50~09:20까지 진행되었다. 회복실 입실 시간은 09:31이고 퇴실 시간은 10:05이다.
2.2. 수술 전 준비 상황 확인
수술 전 준비 상황 확인이다. 수술 서약서와 마취 동의서를 확인한다. 동맥을 확보하고 A line을 시행한다. 대상자의 피부를 제모하고 피부 준비를 한다. 대상자는 수술 12시간 전부터 금식한다. 대상자의 장 준비를 한다. 대상자는 소지품과 장신구를 제거한다.
2.3. 수술 절차 및 간호
수술 전 준비 상황을 철저히 확인하여 수술이 안전하고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수술 서약서와 마취 동의서를 확인하고, 동맥을 확보하여 A line을 설치한다. 피부 준비를 위해 제모를 시행하며, 금식과 장 준비를 확인한다. 또한 소지품과 장신구를 제거한다.
수술 부위를 betadine과 alcohol로 소독하고, supine position으로 체위를 취한다. 수술은 routine sterile manner로 진행되며, 12mm 수직 incision을 배꼽 부위에 시행하여 12mm trocar를 삽입한다. 이어서 5mm trocar를 치골 상부에, 12mm trocar를 우하복부에 삽입한다. adhesiolysis를 시행하여 appendix base를 확인한 후, appendiceal artery와 vein을 energy device로 처리하고 cecum을 Endo GIA로 절제한다. 절제된 조직은 endo bag에 담아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layer by la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