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학 실습 폐렴 사례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폐렴의 정의
2.2. 폐렴의 원인
2.3. 폐렴의 병태생리
2.4. 폐렴의 증상
2.5. 폐렴의 진단
3. 사례 개요
3.1. 환아 정보
3.2. 입원 경과
4. 간호 문제 선정
4.1. 간호 문제 도출
4.2. 간호 문제 우선순위 선정
5. 간호 계획 및 중재
5.1. 기도 내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5.2. 급성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5.3. 기침과 관련된 급성통증
5.4. 입원과 관련된 안위변화
6. 평가 및 고찰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폐렴은 폐 실질조직의 급성염증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병원체 감염이 주요 원인이며 이 외에도 화학물질 또는 구토물 흡입 등의 비감염성 요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폐렴의 위험요인으로는 공기오염, 의식수준 변화, 영양실조, 상부기도 감염 등이 있다. 특히 영아와 5세 이하 아동에게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RSV 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폐렴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폐렴 발생 시 감염 부위로 혈류량과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호중구 활성화와 침윤이 일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폐포 내 액체 저류와 경화가 발생하여 산소 확산장애와 저산소증, 기도 폐쇄로 이어지는 특징적인 병태생리를 보인다. 폐렴의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발열, 화농성 가래를 동반한 기침, 흉부통증 등이 있으며 비전형적 증상으로는 두통, 근육통, 오심,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폐렴은 혈액배양과 객담 검사를 통해 진단되며, 흉부 X선 검사에서도 특징적인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폐렴 환자의 치료를 위해서는 적절한 항생제 투여와 더불어 산소 및 수액 공급 등의 지지적 치료가 필요하다. 간호사는 환자의 활력징후와 호흡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기도 내 분비물 배출을 돕는 등 환자의 상태 변화에 신속히 대응해야 한다. 또한 가족에게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협력적인 치료 과정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2. 이론적 배경
2.1. 폐렴의 정의
폐렴이란 폐 실질조직의 급성염증으로 1차/2차 질병으로 발생하며, 폐의 세기관지 이하 부위 중 특히 폐포에 발생하는 염증이다.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이 주요 원인이며, 적지만 화학물질 혹은 구토물 같은 물질 흡입으로 인해 폐의 염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존재한다. 폐렴의 위험요인으로는 공기오염, 의식수준 변화(발작, 마취, 약물과용 등), HIV 감염, 영양실조, 상부기도 감염 등이 있다.
2.2. 폐렴의 원인
폐렴은 폐의 분절 또는 폐엽에서 경화가 발생하는 대엽성 폐렴이나, 기관지 주위에 널리 반점이 퍼지는 기관지 폐렴으로 발생할 수 있다. 폐렴의 주요 원인균으로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리케차, 원충 또는 기생충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방어기전이 병원체의 독성에 대항하지 못할 때 폐렴이 발병한다.
세균성 폐렴의 주요 원인균으로는 폐렴사슬알균, 포도상구균, 인플루엔자균, 레지오넬라균 등이 있다. 이들 병원체는 체내에 침입하여 폐포까지 전파되면 염증을 유발하고 폐포벽이 두꺼워져 폐경직 및 무기폐를 초래한다. 이로 인해 가스교환 장애가 발생하여 저산소증이 나타나게 된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에 의해 발생한다. 이들 바이러스는 기도점막을 침입하여 세포의 파괴와 염증을 유발하며, 때로는 세균 감염이 동반되기도 한다.
진균성 폐렴은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주로 발생하며, 주요 원인균으로는 폐아스페르길루스, 폐크립토코쿠스, 폐포자충 등이 있다. 이들 진균은 호흡기를 통해 침입하여 폐포 내에서 증식하면서 폐조직을 손상시킨다.
리케차성 폐렴은 주로 폐렴리케차균에 의해 발생하며, 이 균은 폐포상피세포에 침입하여 증식함으로써 폐렴을 유발한다. 원충성 폐렴은 폐포자충에 의해 발생하며,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주로 나타난다.
비감염성 원인으로는 화학물질, 유독가스, 방사선, 흡인 등이 있다. 화학물질이나 독성 가스 흡입, 위내용물 등의 흡인으로 인해 폐의 염증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치료 중 폐에 조사되는 경우에도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렴은 다양한 병원체와 비감염성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증상과 경과,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2.3. 폐렴의 병태생리
폐렴은 폐의 분절 또는 폐엽에서 경화가 발생하는 대엽성 폐렴이나, 기관지 주위에 널리 반점이 퍼지는 기관지 폐렴으로 발생한다. 염증은 간질강과 폐포 그리고 세기관지에서 발생한다. 발병 과정은 병원체가 기도점막을 침입하고 폐포에서 번식하면서 시작된다. 백혈구가 폐포 내로 이동하여 폐포벽이 두꺼워지며 적혈구와 섬유소가 폐포내로 들어온다. 액체가 폐를 채우면 세균은 식균작용을 피할 수 있으며 이 액체는 세균을 쉽게 다른 폐포로 이동하게 만들어 감염을 확산시킨다. 폐의 환기 부족으로 저산소증이 유발...
참고 자료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44 서울대학교병원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s://www.snubh.org/dh/module/newsLetter/newDrugList.do?DP_CD=PH&MENU_ID=004014021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약제부
송경애 외 : 최신 기본간호학 2, 수문사, P452~464, 2020
안민순, 김장미, 정윤서 : 아동간호학실습 실무역량중심지침서, 경기, 수문사, P126-131, 2021.
McKinney(2023), 아동간호학(상), 현문사, p.534-538
McKinney(2023), 아동간호학(하), 현문사, p.230-232
윤은자 외 공저(2021), 성인간호학1, 수문사, p.622-628
서울아산병원-건강정보-의료정보-질환백과-폐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31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GC 녹십자 의료재단, CBC검사 의미와 결과해석, https://www.gclabs.co.kr/pr/live/view/28
GC 녹십자 의료재단, WBC Differential Count 의미와 결과 해석, https://www.gclabs.co.kr/pr/live/view/32
서울아산병원, 임상화학검사, https://www.amc.seoul.kr/asan/depts/amccp/K/bbs.do?pageIndex=6&menuId=518&contentId=&searchCondition=&searchKeyword=
서울아산병원-검사 안내-검사항목-혈액검사, https://www.amc.seoul.kr/asan/depts/nm/K/bbsDetail.do?menuId=920&contentId=112113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흔한 질병별 검사안내, https://www.kslm.org/
국제간호진단협회(2022),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21-2023, 학지사 메디컬
[네이버 지식백과] 폐렴 [pneumoni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619&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지식백과] 바이러스성 감염 [viral infection] (신경학, 2005. 11. 30., 최지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16583&cid=55562&categoryId=55562
[네이버 지식백과] 기도내분비물 [intra-airway secretion, 氣道內分泌物]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88436&cid=50362&categoryId=50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