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은 지역사회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이 지역사회이기 때문이다. 지역사회에는 다양한 클라이언트들이 있고 갖고 있는 니즈도 다양하게 있을 것이다. 사회복지기관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니즈를 파악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복지사의 역량은 다양하게 있다.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서비스를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이 가장 중요한데 이 부분이 충족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지역사회의 이해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번 과제에서는 내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가 갖고 있는 문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우리 지역사회의 지리적 특성과, 지역이 갖고 있는 지역사회 문제와 발생이유에 대해 파악하려고 한다. 사회복지사로서 지역사회의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이번 기회를 통해 내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 대해 알아보고 문제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해보겠다.
2. 지역사회 간호과정 보고서
2.1. 지역사회 간호사정
2.1.1. 인구학적 특성
대구광역시 북구의 총인구수는 444,923명이며, 총 가구수는 187,494가구이다. 북구의 인구구조를 평가해 보면, 구암동이 38,658명으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고, 20~30대와 40~50대 인구가 많아 청장년층을 위한 사업이 요구된다. 노령화지수는 2012년 57.4%에서 2017년 90.4%로 5년 사이 33% 증가하여, 고령친화도시 인증 및 관련사업의 추진이 필요한 상황이다. 북구에는 총 164개의 각급 학교가 있으며, 학생 수는 121,668명(남학생 62,397명, 여학생 59,271명)이다. 출생아 수는 174명, 사망자 수는 234명으로 자연증가율이 -60%로 심각한 저출생아 현황을 보이고 있다. 한편, 주요 사망원인은 악성신생물(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순이며, 정신건강증진, 예방접종, 당뇨 및 치매예방 관리사업의 확대가 요구된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14,809명, 한부모가족지원법 수급자는 1,775명으로 취약계층 인구가 많은 편이며, 이들에 대한 복지사업과 연계한 집중 관리가 필요하다.
2.1.2. 자원 및 환경적 특성
북구의 총 면적은 93.99㎢이며, 54개 동, 723개 통, 4,433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구광역시 북부에 위치한 북구는 동쪽으로 대구광역시 동구, 북서쪽으로 경상북도 칠곡군에 접해 있고, 남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서구, 중구에 접해 있다.
최근 10년간 북구의 연평균기온은 13.9℃로 대구광역시 평균인 13.2℃보다 높고, 연강수량은 1,122.0㎜로 대구광역시 평균인 1,224.8㎜보다 적다. 북구의 북쪽에는 높은 산들이 위치하고 남쪽에는 금호강이 흘러 북고남저형 지형을 이루고 있다. 동쪽의 화담산(204m), 서쪽의 태복산(194m), 남쪽의 잠산(199m), 북쪽의 도덕산(661m), 명봉산(402m), 중부의 함지산(284m)이 위치한다.
북구는 대구광역시에서 두 번째로 큰 인구수를 가지고 있으며, 문화시설로는 오페라하우스, EXCO, 어울아트센터, 청소년회관 등이 위치하여 교육문화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다. 도로 및 교통 측면에서 북구는 고속도로, 철도, 도시철도 3호선, 공항이 연결되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상수도 사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신천 하수처리장을 통해 처리된 방류수는 공업용수, 청소용수, 조경용수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다. 폐기물 발생량은 약 1,842톤/일이며, 재활용률은 약 87%로 대구 평균 90.2%보다 다소 낮은 편이다.
2.1.3. 지역사회자원 및 자원활용 현황
북구의 의료자원 현황을 살펴보면, 총 553개의 의료기관이 있으며 이 중 병원은 7,202병상을 갖추고 있다. 고성동, 칠성동, 침산동, 노원동, 산격동, 복현동 등 주요 지역에 의료기관이 분포되어 있다. 또한 대구의료원과 신세계여성병원 등 대규모 민간병원도 입지해 있어 의료자원이 비교적 풍부한 편이다.
한편 보건소와의 협력관계를 살펴보면, 대구의료원과 신세계여성병원 등이 포함되어 있어 민간기관과의 연계도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사회복지시설 실태 및 연계 현황을 보면, 북구 내 60세 이상 노인 인구가 80,268명에 달하지만 노인여가복지시설은 4개소에 불과해 노인 인구에 비해 복지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다. 반면 장애인복지관은 상록뇌성마비복지관 1곳과 장애인 주간보호센터, 보호작업장 등 관련 시설이 있어 장애인 복지 인프라가 비교적 갖춰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북구는 의료자원과 장애인복지시설이 잘 갖춰져 있으나, 늘어나는 노인 인구 대비 노인복지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다. 향후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노인복지시설 확충과 함께 다양한 노인복지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1.4. 지역사회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
북구 지역주민들의 주관적 건강수준은 최근 12% 증가하였다. 이는 -년에 비해 건강상태 및 건강수준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