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심리 평가 보고서
1.1. 평가 개요
이 평가 보고서는 MMPI-2 검사를 통해 수검자의 심리적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한 것이다. 수검자는 29세 남성으로, 현재 대학병원에서 임상병리사로 근무하고 있다. 평소 심한 불안감으로 인해 정신과적 상태를 평가받기 위해 내원하였다.
검사 과정에서 수검자는 긴장된 모습을 보였다. 대학시절부터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 불편했고 동아리 활동 등 모임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근무 중 실수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최근 우울 증상까지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따라 본 평가는 수검자의 불안, 우울, 대인관계 등 전반적인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적 개입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1.2. 검사 결과 분석
1.2.1. 타당도 평가
타당성 척도에서는 제시된 소수척도들이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고 있어 MMPI-2 프로파일의 결과가 유효하다. 무응답률이 0%로 나타났고, 무선반응 일관성(VRIN)과 참/거짓 불일치성(TRIN) 척도 또한 수용 가능한 범위에 있다. 세 개의 비전형 척도 역시 정상 범위에 속하고 있어 MMPI-2 프로파일 해석에 어려움이 없다. 이를 통해 피검자인 김불안증씨가 성의 있게 검사에 임했으며 검사 결과 또한 신뢰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초반 면담 내용에서도 피검자가 협조적이고 자신의 증상을 솔직히 보고하려 한 것으로 나타나 검사 결과의 타당성이 뒷받침되고 있다. 따라서 피검자의 MMPI-2 프로파일은 유효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해석이 유의미할 것으로 판단된다. [1,2,3]
1.2.2. 임상척도 프로파일
김불안증은 MMPI-2의 임상척도 프로파일에서 몇 가지 두드러진 특징을 보인다. 첫째, 불안(ANX) 척도의 점수가 71T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김불안증이 만성적인 사회불안의 문제로 인해 지속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