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공기조화냉동기계기사
2. 공기조화시스템
2.1. 공기조화시스템의 정의
2.2. 공기조화시스템의 역사
2.2.1. 공기조화시스템의 탄생
2.2.2. 국내 공기조화시스템
2.3. 공기조화시스템의 발전 방향
3. 느낀 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공기조화냉동기계기사
공기조화시스템은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HVAC)의 약자로 Heating(난방), Ventilation(환기), Air Conditioning(공기조화)를 의미한다. 사람 또는 물품에 공기조화의 4대 요소인 온도, 습도, 기류, 청정도를 사용목적에 따라 가장 알맞은 상태로 조정하는 것이다.
난방 설비는 실내공기의 가열에 의한 온도만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쾌적한 환경을 만들기에 만족시키지 못한다. 이와는 달리 공기조화설비는 온도 조정으로 공기의 냉각과 가열, 습도 조정으로 공기의 감습과 가습, 기류 조정을 통한 기류의 속도, 기류분포, 기압의 조정 그리고 공기 정화를 통해 공기 중의 탄산가스 농도 조정 및 먼지 세균 냄새 유해가스를 제거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쾌적성의 추구에 만족시킨다.
1970년 대 이전의 공기조화설비는 당시 연료가 풍부하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시스템을 설계할 때에 에너지 절약에는 관심이 없었다. 그러나 두 번의 오일쇼크로 인해 설비 작동의 효율성에 관심이 집중되었고, 1990년대에는 건강과 작업에 대한 쾌적성, 실내 공기질(IAQ : Indoor Air Quality)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공기조화 시스템의 선택에는 경제성을 포함한 에너지 절약과 쾌적성을 고려해야 한다.
공기조화 시스템의 탄생은 고대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고대 로마인들은 집안을 시원하게 하기 위해 벽 뒤에 찬물이 순환되도록 수도관을 설치했고, 2세기 중국인 딩 환은 직경 3m의 회전하는 바퀴가 달린 팬을 개발해 연못 주위의 찬공기를 집 안으로 끌어들였다. 이처럼 공기의 순환과 냉각을 통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시도가 오래전부터 이어져 왔다.
1758년 벤자민 프랭클린과 존 하들리는 에테르 증발을 통해 온도를 -14℃까지 내리는 실험을 하여 물질의 상태변화와 열의 관계를 입증했고, 1820년 마이클 패러데이는 압축-냉각된 암모니아의 기화를 통해 주변 공기의 냉각을 발견했다. 이 기술들이 윌리스 해빌랜드 캐리어에 의해 세계 최초의 공기조화 시스템인 에어컨으로 구현되었다.
윌리스 해빌랜드 캐리어는 1901년 코넬 대학교를 졸업한 뒤 버팔로 포지 컴퍼니에 입사하여 난방 자치 개발에 투입되었다. 1902년 브루클린의 새킷-빌헬름 석판출판사에서 여름철 고온 및 습기로 인한 용지 변질 문제를 해결해달라는 의뢰를 받았다. 캐리어는 피츠버그 기차 승강장의 안개를 보고 영감을 얻어 뜨거운 증기를 채운 코일 사이로 공기를 통과시키는 기존의 방식을 뒤집어 냉매를 채운 코일 사이로 공기를 내보내 온도를 낮추는 방식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구상했다. 이를 토대로 1906년 1월 2일 '공기 취급 장비'라는 이름으로 미국 특허를 등록했다. 이는 세계 최초의 분무형 공기조화 장치로, 물을 데웠다가 순간 냉각시켜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방식이었다.
캐리어는 이어서 1907년 5월 17일 자동 이슬점 조절 시스템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였고, 1914년 2월 3일에 최종 승인을 받았다. 1911년 12월 3일에는 '합리적 건습 공식'을 발표하여 상대 습도, 절대 습도, 이슬점 온도의 상관관계를 밝혀내고, 실내환경에 맞게 공기조화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했다. 이는 공기조화 시스템 설계의 기초가 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외국인 기술자들에 의해 건축설비 기술과 함께 공기조화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조선말기에는 일부 특수 건물에 증기난방시설이 설치되었으나 보급이 되지 않았다.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정책을 위한 관공서 건물에...
참고 자료
공기조화설비(세계적인 디자이너 마쿄 저,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hojo391&logNo=3896013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어컨”
나무위키 “에어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윌리스 캐리어”
에어컨의역사와 원리(형재에어컨 저,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kiyananderson/222669712715
우리나라 건축설비산업의 발전과정 (김영호/(주)우훤 회장 저)
우리나라 공기조화설비 방식의 변천① (장정흡 저, 기계설비신문)
진화하는 초고킁 공조시스템(강은철 저, 투데이 에너지)
공조시스템(HAVC) 왜 친환경이라고 하는 걸까?(코다 CODAA 저,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odaaxyz&logNo=222227845706&from=search&redirect=Log&widgetTypeCall=true&directAccess=false
우리나라 공기조화설비 방식의 변천② (장정흡 저, 기계설비신문)
공기조화 계획 및 설계(김문정 저, 1p)
공기조화 계획 및 설계(김문정 저, 2p)
[기계설비기술 상식] 우리나라 공기조화설비기술⑫ (장정흡 저, 기계설비신문)
공기조화시스템의 다양한 에너지 절감기술(이홍원 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이영규 외 4인, [학습용어 개념사전], 아울북, 2009
해양 교육 포털, “직업소개-수산업”, https://www.ilovesea.or.kr/job/jobc/list.do
한국의 수산업”, 『두산백과』
수산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양수산부, 『2019년도 해양수산 통계연보』
e-나라지표, 『어업생산량 및 양식량』
통계청, 『2018년 어류양식동향조사』
수산업에 새봄이 오기를”, 국제신문, 2020.02.11
킹크랩뿐 아니다…코로나19에 수산물 가격 줄줄이 하락 예상”, 연합뉴스, 2020.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