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식당 서비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식당 서비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2.1. 서비스 품질의 개념 및 중요성
2.2. 고객 만족과 불만족의 정의
2.3. 대학교 식당의 현황 및 특성
3. 연구 모형 및 가설 설정
3.1. 연구모형
3.2. 연구가설
4. 연구방법 및 절차
4.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4.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4.3. 분석방법
5. 실증분석 및 결과
5.1. 표본의 일반적 특성
5.2. 측정항목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5.3. 가설 검증
6. 결론 및 제언
6.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6.2. 연구의 시사점
6.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대학생의 건강한 식생활 개선을 위한 대학교 학생식당 서비스 개선 방향
대학생은 성장기에서 성인기로 전환되는 시기로 식습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대학생의 불규칙한 생활 패턴으로 인해 아침 결식, 가공식품 섭취 증가, 불규칙한 식사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학교 내 학생식당은 저렴한 가격에 균형 잡힌 영양 식사를 제공하여 대학생들의 식생활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교 학생식당의 경우 방학기간을 제외하면 소비자 수가 거의 고정적으로 확보되어 있고 학교 내 지리적 이점으로 인해 경쟁력 강화의 필요성을 크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학생들의 복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생식당 이용 만족도와 학교 주변 식당 이용 실태를 파악하여 학생식당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건강한 식생활 개선과 학생 복지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내 학생식당과 주변 외부식당의 서비스 품질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학생들의 식당 이용 행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건강한 식생활 향상과 만족도 제고를 도모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학생식당의 음식서비스, 환경서비스, 직원서비스 품질을 외부식당과 비교 분석하여 어느 요인이 학생들의 식당 이용 빈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학식당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서비스는 유형의 제품과 달리 무형적이고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다. 서비스 품질은 고객의 기대와 인식된 서비스 성과의 차이로 평가되며, 고객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서비스 품질은 고객만족도와 직결되어 기업의 성과에도 큰 영향을 미치므로 서비스 제공 기업에게 중요한 요소이다.
고객만족이란 고객이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사용할 때 원하는 욕구가 충족되어 긍정적인 심리 상태가 되는 것이다. 반면 고객불만족은 고객의 기대가 충족되지 않아 생기는 부정적인 감정 상태를 말한다. 고객만족도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특징과 소비 경험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 정도를 의미한다.
대학교 식당은 학생들에게 영양가 있고 균형 잡힌 식사를 제공하여 건강과 학업 능률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교 식당은 직영과 위탁운영 방식으로 나뉘며, 방학기간을 제외하고 안정적인 이용객수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서비스 품질 향상에 대한 노력이 부족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학생들의 불만이 높은 편이다.본 연구에서는 학생식당의 서비스 품질을 음식서비스, 환경서비스, 직원서비스 3가지 요인으로 구성하고, 외부식당의 서비스 품질도 동일한 요인으로 구성하여 두 식당 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식당 이용 빈도에 어떤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가설 1: 외부 식당 대비 학생식당이 제공하는 음식서비스의 질이 떨어질 것이다.
가설 2: 외부 식당 대비 학생식당이 제공하는 직원서비스의 질이 떨어질 것이다.
가설 3: 외부 식당 대비 학생식당이 제공하는 환경서비스의 질이 떨어질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가톨릭대학교 재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음식서비스는 음식의 맛, 영양가, 신선도 등으로, 환경서비스는 편의시설, 청결성, 접근성 등으로, 직원서비스는 친절도, 신속성, 전문성 등으로 측정하였다. 각 항목은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성별은 남학생 54명(40%), 여학생 84명(60%)이며, 학년별로는 1학년 33명(23.6%), 2학년 41명(29.3%), 3학년 29명(20.7%), 4학년 37명(26.4%)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거형태는 본가 84명(60%), 자취 22명(15.7%), 기숙사 31명(22.2%), 기타 3명(2.1%)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의 Cronbach's α 값이 0.6 이상으로 나타나 내적 일관성이 확보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학생식당과 외부식당의 서비스 품질 요인이 각각 3개씩 도출되어 개념타당성이 입증되었다.
가설 1의 경우 학생식당 음식서비스의 평균(2.96)이 외부식당(3.51)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아 가설이 지지되었다. 반면 가설 2와 가설 3은 두 식당 간 직원서비스와 환경서비스의 차이가 크지 않아 기각되었다.
본 연구 결과, 학생들의 식당 이용 빈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음식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식당의 음식서비스 품질이 외부식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직원서비스와 환경서비스 품질은 두 식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
참고 자료
진영영, 2011, “대전 지역 대학생의 학교식당과 주변식당의 서비스품질 인지도 비교“, 충남대학교 대학원
김종덕, 2008, “대학 구내식당 서비스의 고객만족 결정요인”, 동의대학교경영대학원
조윤주, 2007, “대학식당의 불만족에 미치는 영양 요인”,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연숙, 임현숙, 안홍석, 장남수, 2003, “생애주기 영양학”, 교문사
김상조, 강명주, 이동철, 2008, “마케팅세계의 이해”, 한경사,
김혜영, 김현진, 송용혜 “서울 북부지역 여자대학생의 구내식당 선호도에 관한 연구-구내식당과 외부식당 비교”, 성신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korean j. dietary culture p.300
김광지, 박기용, 2006, “컨조인트 분석을 통한 대학급식소의 효율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12(4), 33-45.
양일선, 신서영, 이혜영, 이소정, 채인숙(2000), “컨조인트 분석과 다차원척도법을이용한 대학급식소의 전략적 운영 방안 모색”,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5(1), 155
최경숙, 1999, “대진대 학생들의 교내식당 이용 만족도와 급식메뉴 개발을 위한음식기호도조사”, 대진논집, 7, 273-288.
김종덕, 2008, “대학 구내식당 서비스의 고객만족 결정요인”. 동의대학교, 석사논문p,29, 재인용
이유재, 라선아, 2003, “서비스 품질의 각 차원이 CS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에 대한연구 -기존고객과 잠재고객의 비교를 중심으로 -”, 마케팅연구, 18(4), 67-97.
김종덕, 2008, “대학 구내식당 서비스의 고객만족 결정요인”, 동의대학교, 석사논문p,30, 재인용
이훈영, 2006, 마케팅조사론 2판 청담: 서울 재인용
Nunally, J.(1978),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New York: Mcgraw-HillCompany. 재인용
Kwak, TK, Chang HJ(1997): Assessment of main management component forsuccessful university food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3(2) 123~140
Schlenker ED(1984). Nutrition in Aging. ST.Louis: Time Mirror/;Mosby.
Elbushra, O. and E. Matthews(1991), "Student acceptance of meals served in university cafeterias", School Food Service Restaurant Review,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