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모성간호학실습 자궁내막증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2. 연구의 기간 및 방법
2. 본론
2.1. 자료수집(Assessment)
2.1.1. 간호력
2.1.2. 신체검진
2.1.3. 임상검사
2.2. 치료계획과 치료방법
2.3. 간호과정
3. 결론
3.1. 퇴원교육
3.2. 질병연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젊은 여성들이 여성 생식기 질환에 걸리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자궁내막증은 난관이나 난소, 골반 벽 등에 자리를 잡으며 생리 때 통증을 일으키고 심한 장기 유착을 만들어내기도 하고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가임기 여성은 8-10%, 불임여성의 30% 정도에서 나타나는 질환이다. 자궁내막증은 그 빈도가 매우 높은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수술 전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재발률이 80% 이상으로 높은 질환이며, 계속 진행하는 특성을 보여 치료에 있어서도 매우 까다로워 젊은 여성에게는 큰 걱정거리가 된다. 따라서 자궁내막증의 원인과 치료 방법을 정확히 알고 적절한 간호를 제공해 대상자의 치료를 돕고자 이 사례를 연구하게 되었다.
1.2. 연구의 기간 및 방법
2021년 8월 4일 00병원에 입원한 서00(F/35)님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2021년 8월 4일부터 2021년 8월 9일까지 대상자와의 면담, 관찰, 사정, 기록 등을 통하여 정보를 수집한 후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력, 신체검진, 임상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간호 문제를 도출하고 간호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최신 연구 동향을 추가로 조사하여 대상자의 건강 관리와 간호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2. 본론
2.1. 자료수집(Assessment)
2.1.1. 간호력
서00은 35세 여성으로 주부이며 대학을 졸업하였고 종교는 없다. 결혼기간은 2년이며 남편과의 관계가 좋다. 가족력에서 부모님 중 아버지에게 고혈압이 있다.
초경은 13세에 시작하였고 월경 기간과 양은 불규칙적이나 대체로 짧고 많은 편이다. 생리통이 심하고 과다한 생리량을 경험한다. 최근 월경은 2021년 7월 2일에 있었다. 임신 및 출산 경험은 1회 있으나 출산력은 없다.
과거력상 특이사항은 없으며 피임도 하고 있지 않다. 2021년 7월 건강검진 초음파 검사에서 좌측 난소 낭종이 발견되어 이를 치료하기 위해 입원하였다. 입원 전 본인의 여성생식기 기관에 대해 잘 알지 못하였지만, 자궁내막증 진단을 받고 나서부터 인터넷 ...
참고 자료
고명숙외 공저. 개정증보판 下 모성간호학. 현문사(1996)
고명숙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2001)
최연순 지음. 부인과 간호학. 수문사
고강훈 지음. KMLE STUDENT GUIDE 부인과학. 군자출판사(2003)
http://health.naver.com/
http://www.kimsonline.co.kr/
유은광 외 공저,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Ⅰ, 현문사, 2012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 수문사, 2021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자궁내막증』,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encyclo/view/19/3/2.do
[네이버 지식백과] 자궁내막증 [endometrios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00병원 EM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