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산후출혈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간호과정 적용 시나리오
2.2. 산후출혈 환자 간호진단
2.2.1. 부적절한 산후관리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2.2.2. 자궁이완에 따른 출혈과 관련된 쇼크 위험성
2.2.3. 어지러움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2.3. 간호계획 및 중재
2.3.1. 부적절한 산후관리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관리
2.3.2. 자궁이완에 따른 출혈과 관련된 쇼크 위험성 관리
2.3.3. 어지러움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관리
3. 결론
3.1.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한 경험과 배움
3.2. 임상 실무에서의 활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시뮬레이션 실습의 장점 및 필요성은 중요한 요소이다. 간호사학생이 실제 임상에 직면하기 전에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경험과 지식을 쌓는 것은 필수적이다. 시뮬레이션 실습은 환자 상황을 실제와 유사하게 재현하여 학생들이 안전하게 경험을 쌓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응급 상황이나 질병을 모의하게 되어 학생들에게 다양한 상황에서의 대처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는 실제 환자를 다룰 때 더 많은 자신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각 조원의 역할은 중요하다.
2. 본론
2.1. 간호과정 적용 시나리오
김분만님은 36세의 다산부(gravida 4, para4)로 4.3kg의 아기를 급속분만에 의해 2시간 정도에 출산하였다. 김분만님은 출산 후 1시간 내에 3개의 회음 패드를 흠뻑 적셨다. 자궁저부를 사정한 결과 부드러웠고, 배꼽 수준에 있었다. 김분만님은 간호사에게 "다리 사이에 많이 젖은 느낌이 나요. 어지럽기도 하구요"라고 말하였으며, 활력징후는 체온 37.2℃, 맥박 92회/분, 호흡 16회/분, 혈압 120/75mmHg이었다.
김분만님의 경우 다산부, 급속분만, 거대아, 1시간 내에 3개의 회음 패드가 흠뻑 젖은 점, 출산 후 부드럽고 물렁물렁한 자궁과 상승된 자궁저부 높이, 다리 사이에 젖은 느낌과 어지러움 호소, 혈압 저하 등이 산후출혈의 위험이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따라서 간호사는 우선적으로 자궁 수축을 위한 자궁저부 마사지를 시행하며 출혈이 심한 경우 자궁수축제(옥시토신) 정맥주입을 실시한다. 출혈이 조절되지 않으면 수술적 중재가 필요할 수 있다.
김분만님의 활력징후 모니터링 시 저혈압이나 저나트륨혈증 등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혈압과 Lab 검사 수치를 수시로 확인하며 이상이 있을 경우 의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또한 방광팽만으로 인해 자궁 위치가 위로 치우쳐졌다고 판단되어 도뇨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처럼 김분만님의 사례에서 간호사는 산후출혈의 위험 요인을 신속히 파악하고 자궁수축, 출혈 관리, 활력징후 모니터링, 도뇨 등 적절한 간호중재를 수행해야 한다. 이를 통해 산후출혈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건강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2.2. 산후출혈 환자 간호진단
2.2.1. 부적절한 산후관리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부적절한 산후관리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이다.
분만 후 12시간 이내에는 자궁이 배꼽 위치에 있지만 점차 하강하여 산욕 6-8주에는 비임신 상태로 돌아온다. 따라서 분만 후 첫 1시간 내에 회음부 패드가 완전히 젖는 경우 과다출혈의 위험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자궁이 완전히 수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혈이 지속되면 자궁이완에 따른 출혈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궁저부 마사지를 통해 자궁수축을 유도하고 필요시 자궁수축제 투여 등의 중재가 필요하다.
분만 후 초기에는 실혈량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활력징후와 환자의 주관적 증상, 시간당 패드 사용량 등을 면밀히 관찰하여 출혈 정도를 파악해야 한다. 특히 혈압 저하, 빈맥, 호흡 증가 등의 징후가 나타나면 즉시 의료진에게 보고하여 신속한 처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분만 후에는 방광이 팽만되어 자궁 위치를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참고 자료
간호과정 및 보고서 작성을 위한 참고문헌 제시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210A025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2021).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간호진단,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2019). 현문사
박은영, 송미령, 류은정, 고영, 오현진, 부선주. (2016).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현문사.(143, 157, 162)
차영남, 장효순, 한혜실, 정정숙, 윤진, 정수경.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현문사.
박영주 외. (2017). 여성건강간호학1. 서울: 현문사.
유은광 외. (2017). 모성 여성건강간호학. 서울: 현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집부 저(2018). 여성건강간호학. 서울: 수문사.
김경원, & 이경혜. (1998). 여성의 고위험 임신에 대한 경험.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Wang, P., Liou, S. R., & Cheng, C. Y. (2013). Prediction of maternal quality of life on preterm birth and low birthweight: a longitudinal study.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13(1), 124.
Oh, H. E. (2001).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identity, role attainment and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5(5), 255-266.
고기연, & 박효정. (2017). 아로마 흡입요법이 입원한 고위험 임부의 스트레스와 상태불안, 우울 및 자율신경계 반응에 미치는 효과. Korean J Women Health Nurs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3(1), 33-41.
이주연, & 김혜영. (2016). 초산모를 위한 산후관리 모바일 앱 개발 및 효과 검증 (Doctoral dissertation).
보건복지부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제도’ 팸플릿
송경애 외. (2017). 최신 기본간호학. 서울: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