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약물의 분류
1.1. 약의 활용에 따른 분류
약물의 활용에 따른 분류에는 마약, 한외마약, 향정신성의약품, 오남용우려의약품, 일반의약품, 전문의약품 등으로 나뉜다.
마약은 무감각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어 수면 및 혼미를 야기시켜 동통을 완화하는 물질로, 양귀비, 아편 및 코카엽, 아편알칼로이드 등이 해당된다. 한외마약은 마약성분 외에 유효성분이 3종 이상 배합되어 그 약품으로부터 마약 가공이 불가능하여 신체적,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킬 염려가 없는 의약품이다. 향정신성의약품은 인간의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것으로 오·남용의 경우 인체에 현저한 위해가 있다고 인정되는 약물로, LSD 및 이와 유사한 환각작용이 있는 물질, 바르비탈, 메프로바메이트 등이 포함된다. 오남용우려의약품은 오용, 남용의 우려가 있는 의약품들을 지칭하며 비만치료제, 발기부전치료제 등이 해당된다. 일반의약품은 전문의약품 이외의 모든 의약품으로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감기약, 멀미약, 구충제 등이 있다. 전문의약품은 의사의 감독 하에 사용되는 의약품이다.
이처럼 약물은 그 활용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각 분류에 따라 관리와 사용에 있어 차이가 있다. 이는 약물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기준이 된다.
1.2. 투여 경로에 따른 분류
투여 경로에 따른 약물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경구(PO) 투여는 가장 안전하고 편리한 투여 경로로, 대부분의 약물에 적용된다. 아스피린, 진정 수면제, 항생제 등이 이에 해당한다. 설하 투여는 빠른 효과가 필요한 경우 니트로글리세린과 같은 약물에 사용된다. 볼점막(buccal) 투여는 지속적 흡수와 몇 시간에 걸친 전신 효과가 있는 간편한 제형으로, 남성호르몬 약물에 적용된다. 경피 투여는 니트로글리세린, 에스트로겐과 같이 지속적 흡수와 몇 시간에 걸친 전신 효과가 있는 간편한 제형으로 이용된다. 피하(SC) 주사는 위장관에서 불활성화 되는 인슐린과 같은 약물에 사용된다. 근육내(IM) 주사는 경구로 흡수가 잘 안 되는 약물의 높은 혈중농도와 신속한 효과발현이 필요한 경우, 마약성 진통제나 항생제에 적용된다. 정맥 주사는 응급상황에서 즉각적 효과가 필요한 경우 수액제, 영양보조수액, 항생제 투여에 이용된다. 동맥 주사는 항암제와 같이 내부 장기내에 국소적 효과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척수강내 주사는 리도카인을 이용한 척수마취와 같이 척수내의 국소효과가 필요할 때 적용된다. 흡입 투여는 에피네프린과 같은 천식 치료제와 같이 호흡기계내의 국소효과가 필요한 경우에 활용된다. 국소 투여는 크림, 연고, 점안제, 좌약 등과 같이 피부, 눈, 귀, 항문, 질 등의 국소 효과가 필요할 때 사용된다.
1.3. 약의 제형에 따른 분류
약의 제형에 따른 분류에는 내복약과 외용약이 있다. 내복약에는 정제, 캡슐제, 산제, 과립제, 액제, 시럽제, 환제 등이 있다. 정제는 가루나 결정성 약을 뭉쳐서 둥글넓적한 원판이나 원뿔 모양으로 만든 제제이다. 캡슐제는 젤라틴이나 전분으로 만든 경질캡슐과 연질캡슐의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여기에 분말, 액상, 과립상태의 약을 충진시킨다. 산제는 분말 상태의 약제이며, 과립제는 비산성인 약물을 가공하여 과립상으로 만든 제제이다. 액제는 약물을 물에 녹인 것이고, 시럽제는 당 또는 다른 당류, 감미제에 약물을 함유시켜 만든 용액 또는 현탁액이다. 환제는 약을 둥글게 만들어 복용하기 용이하게 한 제제이다. 외용약에는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점안제, 흡입제, 좌제 등이 있다. 이처럼 약물의 제형에 따라 투여 경로와 약물 방출 특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약물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서는 적절한 제형이 선택되어야 한다.
1.4. 복용 시간에 따른 분류
식전복용, 식간복용, 식후복용의 세 가지로 약물을 복용 시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식전복용은 식사 30분 전에 복용하는 것으로, 식욕증진 또는 식후 혈당 상승을 막는 약물이나 구토억제제를 이에 해당한다. 이는 식사와 연계하여 약물의 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식간복용은 식사 전후 2시간 사이 공복 시에 복용하는 것으로, 골다공증 치료제 등이 이에 속한다. 이는 식사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