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항문암 치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주제 선택 이유
1.2. 서론
2. 본론
2.1. 항문의 구조와 기능
2.2. 항문암의 정의 및 분류
2.3. 항문암의 원인
2.4. 병태생리 및 전이
2.5. 증상과 징후
2.6. 진단검사
2.7. 치료법
2.8. 합병증
3. 결론 및 느낀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주제 선택 이유
레포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병동 환자 중 '항문암'의 진단명을 가지고 계신 분이 있으시다. 그런데 이분이 폐, 겨드랑 림프절, 자궁, 복강 림프절 등 여러 곳에 전이가 되었으며 고혈압을 앓고 계신다. 항문의 혈액과 림프의 흐름이 어떻길래 이렇게 여러 곳에 전이가 일어났는지 궁금하여 더 공부하고 싶어 항문암을 주제로 선택하였다. 또한 항문암의 증상 중 하나인 혈변으로 인한 빈혈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내용이 지금껏 성인 간호학 이론을 통해 배운 계통인 소화계통과 혈액계를 통합하는 질환인 것 같아 잘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았으며 흥미롭게 느껴져 최종적으로 항문암으로 주제를 선택하게 되었다.
1.2. 서론
2019년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2019년에 254,718건의 암이 발생하였는데, 그중 항문암은 322건으로 암 발생률 0.1%로 적게 발생하고 아직 잘 알려진 바 없는 희소 암이다. 남녀의 비율은 각각 138명 184명으로 0.1:0.2로 비슷하지만, 여자에게서 더 많이 나타났다. 이에 본 실습생은 아직 알려지지 않은 항문암에 대해 연구하고 조사함으로써 더 나은 간호를 시행하기 위해 이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2. 본론
2.1. 항문의 구조와 기능
항문은 소화관의 마지막 부분이며, 직장을 몸의 외부와 연결해준다. 항문관의 내부를 덮고 있는 점막은 항문관의 상부에서는 직장의 점막과 동일한 기둥 모양의 입방형 상피세포로 되어 있고, 이행구역을 지나면서 상피세포 모양이 편평해져 하부는 편평상피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항문관의 내강이 좁아지면서 점막이 접히게 되어 약 12~14개의 모르가니주(columns of Morgagni)라는 주름 모양이 생기며 아래에는 치상선이라고 하는 톱니 모양의 눈으로 구별되는 경계 부위가 있다. 이 부위에서 항문관 상부의 점막 색깔은 분홍색이고, 하부는 자주색을 띤다. 항문연은 편평상피세포로 덮여 있어 항문의 바깥 피부로 연결된다. 항문은 직장의 대변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배변 시 항문관 주위의 괄약근이 이완되어 대변이 배출되고, 그 외의 기간에는 괄약근이 수축된 상태로 있어 대변의 배출을 막는다. 괄약근이 약해지면 변이 조금씩 나오는 변실금이 생길 수 있다.
2.2. 항문암의 정의 및 분류
항문암은 항문에 생기는 악성 종양이다. 종류로는 편평상피세포암, 총배설강암, 악성 흑색종, 선암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편평상피세포암과 총배설강암이 가장 흔한 항문암이다. 이러한 항문암은 유형에 따라 환자의 예후 및 치료 방법에 많은 차이가 있다.
편평상피세포암은 항문연과 항문관의 상당 부분을 덮고 있는 편평상피세포에서 발생한다. 이는 항문암 중 가장 흔하며 약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편평상피세포암의 가장 초기 단계를 상피내암이라고 하는데, 이는 보웬씨 병이라고도 한다.
총배설강암은 항문이행부위 또는 총배설강이라 불리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종종 편평상피세포암의 한 형태로 분류된다. 현미경 상에서 편평상피세포암과는 약간 다른 모양을 보이나, 암의 형태와 치료방법은 비슷하다. 수술적 치료방법으로는 복회음절제술이 있고, 최근에는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이 선호되고 있다. 5년 생종율은 약 50% 정도이다.
선암은 항문에서 드물게 발생하며 항문암으로서는 적은 비율로 나타난다. 항문 점막 밑에 위치한 항문관으로 점액을 분비하는 기능을 가진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I/수문사/윤은자외
중앙암등록본부 61개 암종/성별 암발생 현황 바로가기
국립암정보센터 https://www.cancer.go.kr/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항문암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59
[네이버 지식백과] 항문암 [anal cancer]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http://www.mediup.co.kr/board/index.html?id=dise&no=4102
[네이버 지식백과] 항암화학요법 [chemotherapy]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 방사선치료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37
윤은자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2013년 성인 간호학 현문사 조경숙 외 374-380p
2008년 성인 간호학1 수문사 이향련외 329-337p
2012년 성인 간호학 수문사 김금순 외 439-443p, 453-491p
2004년 성인 간호학 군자출판사 옮긴이, 이종철, 김재준 18-159p
2009년 성인 간호학, 엘스비어코리아, 박정숙외 277~282
2009년 2월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저자 김분한 외 P. 823-856
넷째판 성인간호학 下 Ⅱ - 수문사 p114~p136
1996년 성인간호학 上 - 현문사 p596~p607
2013년 통합내과학(소화기), 정담, 37~39, 55~58, 86~88
2004.1월 임상 내과학. 고려의학. 저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p.285-346
대한소화기학회 - http://www.gastrokorea.org/
이미지 검색 - www. google.co.kr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위식도정맥류 출혈의 예방과 치료 - Vol. 40, No. 2 February, 2010 (71-83)
대한내과학회지 : 제73권 부록2호 2007 위장관출혈, 순천향학교 의과학 소화기 내과 조주영 ㆍ정일권
대한내과학회지: 제79 권 제 2호 2010 상부위장관 출혈의 치료: 소화성궤양 출혈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내과 강기주·이준행
조기위암의 조기위암의 내시경진단 내시경진단팁 팁,박재준 소화기내과, 경희대학교동서신의학병원
The Korean Journal of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 2014;14(1):6-12 소화성 궤양의 내시경 진단, 최민호 한림학교 의과학 동탄성심병원 내과학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