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골절의 정의와 분류
1.1. 골절의 정의
골절은 뼈 구조가 부러지거나 손상을 입는 것으로,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를 의미한다. 뼈는 일반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스트레스가 가해질 때 골절이 발생하며, 골절로 인한 손상 범위는 경미한 근육 염좌에서부터 심각한 골절로 인한 장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또한 골절은 심각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 및 간호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1.2. 골절의 분류
1.2.1. 상처 상태에 따른 분류
골절의 상처 상태에 따른 분류는 개방(복합) 골절과 폐쇄성(단순)골절로 구분된다. 개방(복합) 골절은 골절 부위의 피부가 손상되어 외부로 창상이 있고 골절된 뼈가 노출된 것이다. 외부적 창상 때문에 개방 골절은 항상 주위 조직의 손상과 감염의 가능성이 있다. 반면 폐쇄성(단순)골절은 피부의 창상이 없어서 골절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개방 골절은 폐쇄성 골절에 비해 더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상처 상태에 따라 골절의 치유 과정과 예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1.2.2. 골절 형태에 따른 분류
골절 형태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완전골절은 골막과 뼈가 모두 양쪽으로 분리되어 두 개의 골절편이 뚜렷이 나타나는 상태이다. 불완전골절은 뼈의 한쪽 면만 파괴된 것으로, 아동의 유연한 뼈에서 흔히 발생하며 비교적 빨리 치유된다. 충동 또는 감입 또는 압박골절은 한 개의 골절편이 다른 골편이나 뼈조직에 박히는 골절이다. 분쇄골절은 골절편이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부서진 상태이며, 전위골절은 완전히 골절되어 있으면서 골절편이 골절선이나 관절 밖으로 분리된 상태이다. 병리적골절은 골다공증이나 골종양으로 인하여 허약해진 뼈에서 골절이 생긴 것이다. 각형성골절은 두 개의 골절편에 각도가 생기면서 중첩되기도 하며, 견열골절은 인대와 연결되어 있는 골절편과 다른 골절편이 분리된 상태이다. 행군골절은 오랜 행군 끝에 심한 피로로 중족골이 골절된 상태이고, 스트레스 골절은 뼈에 반복되는 힘이 가해질 때 발생된다."
1.2.3. 골절선의 방향에 따른 분류
골절선의 방향에 따른 분류에는 선상골절, 종적골절, 사선골절, 나선골절, 횡골절이 있다.
선상골절은 뼈에 금이 간 골절선이 있는 것이다. 골절선이 뼈에 금이 간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종적골절은 골절선이 세로이며 골 축과 평행을 이루는 경우를 말한다. 골절선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이다.
사선골절은 골절선이 골 축에서 약 45°각을 그리면서 경사가 생긴 골절이다. 골절선이 비스듬한 각도로 발생한 경우이다.
나선골절은 골절선이 뼈둘레를 돌면서 나선을 이루고 있는 형태이다. 골절선이 나선 모양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횡골절은 골절선이 뼈 단면을 횡단하여 골축과 수직을 이루는 경우를 말한다. 골절선이 골의 넓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골절선의 방향에 따라 골절의 유형이 구분되며, 각각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골절의 치유과정
2.1. 혈종형성 단계
골절이 발생하면 즉시 골절 부위에 출혈과 삼출물이 생기는데, 이를 혈종형성이라고 한다. 골막과 근접 조직의 파괴 및 혈관의 파열로 인해 혈종이 형성되며, 이 혈종은 손상받은 뼈를 둘러싸고 골절의 갈라진 틈을 채우게 된다.
혈종 형성 단계는 골절 발생 후 24시간 이내에 일어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혈종 내부에 울혈이 생기며, 혈액이 엉겨 붙어서 섬유소 그물망을 형성한다. 이 섬유망은 손상받은 뼈를 보호하고, 모세혈관과 섬유아세포의 발달을 위한 기반 구실을 하게 된다.
혈종 내부에 새로운 모세혈관이 생기고 섬유아세포와 함께 결합되면서 24시간 후에는 골절된 뼈의 말단 부위에 혈액 공급이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인 혈종과 달리 골절을 둘러싼 혈종은 치유되는 동안 흡수되지 않고 변화되어 육아조직으로 발달하게 된다.
2.2. 세포증식 단계(육아조직 형성)
세포증식 단계(육아조직 형성)은 골절 후 혈종형성 단계 이후에 나타나는 치유 과정이다. 손상 후 이틀째에는 적혈구와 괴사조직이 식세포에 의해 제거되며, 동시에 혈종 주변을 섬유아세포가 둘러싸면서 섬유아세포가 골절 부위 둘레에 연조직 가골을 형성함으로써 회복과정이 시작된다. 즉, 혈종이 점차적으로 육아조직으로 대치되는 것이다. 이 육아조직은 치유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혈종 내에 새로운 모세혈관이 생기고 섬유아세포와 함께 결합되어 24시간 후에는 골절된 뼈의 말단에 혈액 공급이 증가한다. 이를 통해 골절 부위에 필요한 영양분과 산소 공급이 원활해지면서 골절 치유를 위한 기반이 마련된다. 따라서 세포증식 단계(육아조직 형성)은 골절 치유 과정의 초기 단계로써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2.3. 가골형성 단계
손상 후 6~10일경에는 육아조직이 변화되어 가골이 형성된다. 가골은 골절선을 넘어서 더 넓게 뻗쳐 있으므로 일시적인 부목의 역할을 한다. 가골은 손상 후 14~21일이 경과되면 최대의 크기에 도달한다. 이 가골 덩어리는 계속하여 재형성된다. 가골은 점차 뼈와 같이 딱딱한 형태로 영구적인 뼈가 되는데, 이 과정에서 골모세포와 파골세포의 작용에 의해 재형성된다. 과잉 증식됐던 뼈들은 흡수되고 가골은 뼈와 같이 딱딱한 형태로 영구적인 뼈가 된다.""
2.4. 골화 단계
골화 단계는 골절 치유 과정의 네 번째 단계로, 영구적인 진성 가골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무기 염류가 축적되면서 단단한 뼈가 만들어진다. 골화 과정의 첫 번째 단계로 골막과 피질 사이에 외가골이 형성되고, 그 다음에는 내가골이 형성되며, 마지막으로 피질 절편 사이에 가골이 형성된다. 약 3~10주가 지나면서 가골은 뼈로 변화되며, 이러한 뼈의 형성은 골절 끝과 함께 단단히 결합되어 치유 단계가 종결된다. 이 단계를 거치면서 가골은 점차 진성 뼈가 되면서 강해지며, 골모세포와 파골세포의 작용에 의해 재형성된다. 과잉 증식됐던 뼈들은 흡수되고 가골은 뼈와 같이 딱딱한 형태로 영구적인 뼈가 된다. 따라서 골화 단계는 골절 치유 과정에서 가골이 진성 뼈로 변화되는 중요한 단계라 할 수 있다.""
2.5. 골 재형성 단계
가골은 점차 진성 뼈가 되면서 강해진다. 그리고 골모세포와 파골세포의 작용에 의해 재형성 된다. 과잉 증식됐던 뼈들은 흡수되고 가골은 뼈와 같이 딱딱한 형태로 영구적인 뼈가 된다. 이 과정에서 골모세포는 새로운 골 조직을 만들어내고, 파골세포는 과도하게 발달한 골 조직을 흡수하여 균형을 이루게 된다. 이를 통해 골절 부위의 형태와 기능이 정상에 가깝게 회복된다. 재형성 과정이 진행되면서 뼈의 정상적인 구조와 강도가 서서히 회복되고, 관절 운동 범위도 점차 개선된다. 뼈 재형성 과정의 완성을 통해 골절된 뼈는 충분한 강도를 갖게 되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골 재형성 단계에서는 골절 부위에 형성된 가골이 단단한 뼈로 치환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골모세포와 파골세포의 상호작용에 의해 골 조직의 리모델링이 일어나게 된다. 골모세포는 새로운 골 기질을 형성하고, 파골세포는 기존의 과도하게 증식된 골 조직을 흡수한다. 이를 통해 정상적인 골 구조와 강도가 서서히 회복되고, 관절 가동범위도 점차 개선된다. 골 재형성 과정이 완료되면 골절 부위가 견고한 뼈로 치유되어 일상생활이 가능해진다. 이 단계에서는 특히 칼슘과 인 섭취가 중요하며, 적절한 재활 운동이 병행되어야 한다. 골 재형성 과정이 지연되거나 불완전하게 이루어지면 지연유합, 불유합, 부정유합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3. 골절의 증상
3.1. 변형
골절 시 뼈의 모양이나 위치가 변하여 각이 생기거나 회전 및 단축이 있으며 뼈 윤곽의 변화와 눌림이 나타나는데, 이를 "변형"이라고 한다. 장골인 경우 근육경직이나 골절편의 중복으로 인해 사지 길이가 단축되어 보일 수 있다.
변형은 골절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로, 골절부위의 관찰만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변형이 발생하는 이유는 골절로 인해 뼈의 연속성이 끊어져 해부학적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특히 장골 골절 시 근육의 수축으로 인해 골절편이 어긋나면서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복합골절이나 분쇄골절의 경우 골절편이 심하게 전위되면서 뚜렷한 변형을 보이게 된다.
변형은 골절의 정도와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뼈의 모양 변화로 각이 생기거나 골절편이 회전되어 보이며, 길이의 단축이 있다. 또한 골절부위를 만져보면 뼈 윤곽의 변화와 눌리는 느낌이 있다. 이러한 변형은 통증, 근육경련, 기능장애 등의 다른 증상과 함께 나타나므로, 골절 진단에 있어 중요한 단서가 된다.
따라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