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로타 바이러스 소아 간호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로타바이러스 장염 케이스 스터디 선정 이유
1.2.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중요성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아동의 소화기계
2.1.2. 로타바이러스
2.1.2.1. 로타바이러스의 정의
2.1.2.2. 로타바이러스 장염 원인
2.1.2.3. 로타바이러스 장염 역학
2.1.2.4. 로타바이러스 장염 증상
2.1.2.5. 로타바이러스 장염 진단과 검사
2.1.2.6. 로타바이러스 장염 치료 및 간호
2.1.2.7. 로타바이러스 장염 예방
2.2. 간호과정
2.2.1. 간호사정
2.2.1.1. 환자 간호력
2.2.1.2. 요구사정
2.2.1.3. 신체사정
2.2.1.4. 진단검사
2.2.1.5. 투약
2.2.1.6. 간호진단 · 계획 · 수행 · 평가
3. 출처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로타바이러스 장염 케이스 스터디 선정 이유
인류에게 설사질환은 이미 고대부터 알려져 왔다. 1973년에 비숍 등이 설사하는 소아의 장조직에서 전자현미경으로 바이러스 입자를 관찰하였고 이 바이러스는 바퀴를 닮은 모습으로 인해 이후 "로타바이러스"라 명명되었다. 매년 전세계 영유아 1억2,500만명이 감염되고 있는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 중증 위장염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 그리고 로타바이러스 장염에 대해 치료약은 없지만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백신이 2007년 2008년에 허가되어 예방접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1년도 질병관리본부의 조사에 따르면 로타바이러스는 급성 설사 질환 원인 바이러스 중 63%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또한 매년 55000~70000건의 입원을 야기하는 5세 이하 아동의 주요 설사의 원인이다. 성인과 다르게 아동의 경우 로타바이러스에 대하여 면역력이 약하여 질병에 잘 이환된다. 그래서 우리 조는 아동의 소화기계 질병 중 특히 자주 발생하는 로타바이러스에 대하여 케이스 스터디를 하기로 결정하였다.
1.2.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중요성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매년 전세계 영유아 1억2,500만명이 감염되고 있는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 중증 위장염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 2011년도 질병관리본부의 조사에 따르면 로타바이러스는 급성 설사 질환 원인 바이러스 중 63%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55,000~70,000건의 입원을 야기하는 5세 이하 아동의 주요 설사의 원인이다. 성인과 다르게 아동의 경우 로타바이러스에 대하여 면역력이 약하여 질병에 잘 이환된다. 따라서 아동의 소화기계 질병 중 특히 자주 발생하는 로타바이러스 장염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아동의 소화기계
아동의 소화기계는 만삭으로 태어나도 미성숙하다. 대부분 소화과정은 생후 3개월 이전까지 기능 시작하지 않는다. 간은 영아기 모든 위장계 중 가장 미성숙한 장기로 빌리루빈의 결합능력과 담즙 분비는 생후 2주 후부터 형성된다. 타액은 소량 분비되지만, 연하반사의 조절이 미흡하여 침을 흘린다. 아밀라아제 효소 분비는 생후 4~6개월까지 부족하다. 위에서의 소화는 염산과 레닌의 활동으로 구성되며, 위는 점차 증가하는 음식부피에 적응하도록 점점 커진다. 십이지장에서 췌장효소와 담즙이 나와서 단백질, 지방을 용해하여 소화시킨다. 지방합성효소 리파아제 부족으로 생후 4~5개월까지 지방흡수가 성인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영아기의 대변은 고형식이 소화가 덜 된 채 변에 같이 섞여 나온다. 아동이 섬유소를 과다 섭취하면 무르거나 굵은 변을 본다. 생후 1년 말쯤 영아는 하루 세 번 식사 잠자기 전 한 번 우유를 마시고 매일 한두 번씩 대변을 본다. 유아에게 어떠한 형태로든 위에 자극을 받으면 설사, 구토, 탈수가 일어난다. 유아는 세포외액이 총체액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이로 인해 체액손실을 보다 빠르게 하여 탈수가 잘 일어난다. 또한 체표면적이 상대적으로 더 넓어서 피부를 통한 불감성 수분소실량이 더 많다.
2.1.2. 로타바이러스
2.1.2.1. 로타바이러스의 정의
Reoviridae과에 속하는 이중 가닥 RNA 바이러스이다. 로타바이러스는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외부 캡시드(단백질 껍질)의 연변을 다라 방사형 막대가 잇는 수레바퀴모양을 나타낸다. 즉,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테두리에 짧은 바퀴살을 갖는 수레바퀴처럼 생겼다 하여 wheel을 뜻하는 라틴어 'rota'란 이름이 붙었다. 바이러스는 외피가 없는 두 층의 캡시드로 구성되며 외부 캡시드는 70mm 크기로 형특이항원으로 당단백인 VP7과 60개의 작은 스파이크 형태로 표면에 돌출되어 있는 VP4로 구성된다. VP4는 세포부착 단백이며 혈구응집소로 작용한다. 유전체는 11개 분절의 이중가닥 RNA로 구성되며 크기는 18kb 이다.
2.1.2.2. 로타바이러스 장염 원인
로타바이러스는 대변-구강 경로를 통해 감염되며, 위산에 강한 생존성을 보이고, 소장 융모세포의 세포질 내에서 증식하여 세포의 물질 이동과정에 장애를 주어 설사를 유발한다. 설사는 손상된 융모세포가 미분화된 세포로 대치되면서 나트륨이온, 당, 수분 등의 흡수하는 데 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그리고 장의 alkaline phosphatase, sucrose의 활동이 감소되어 등장성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최근에는 바이러스의 비구조 단백인 NSP4가 강력한 장독소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규명되었다. 감염되어 손상된 세포들은 장관내로 떨어져 나와 대변 1g당 10^10개의 바이러스를 배출한다. 이러한 로타바이러스는 감염 후 임상증상이 나타나기 전부터 증상이 없어진 후 10일까지 감염된 사람의 대변에 존재하게 되는데, 감염된 사람이 증상을 보이지 않더라도 로타바이러스는 이 기간 동안 손과 입을 통해 쉽게 전파될 수 ...
참고 자료
김영혜 외 편역(2012), 아동간호학 총론, 서울: 현문사
김영혜 외 편역(2015), 아동간호학 각론, 서울: 현문사
홍경자 외(2003), 아동간호학 2권, 서울: 수문사
진은희, 김태경(2014), New 간호와 영양, 서울: 군자출판사
최정신(1997),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서울: 현문사
임상간호연구회, 최신임상 간호핸드북 (2014), 대광의학
서울대학교병원 (1995),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기초간호자연과학회·대한미생물학회(2012), 간호 미생물학(제2판), 서울: 엘스비어코리아
로타 바이러스 감염증 [rotaviral infec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로타바이러스 [rotavirus]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박문각)
심정옥(2012). 소아 급성설사의 원인과 감별법. 대한의사협회지. 제55권 제6호(p516-524)
박민경, 박재옥, 김창휘(2006). 신생아와 영유아 로타바이러스 위장염의 임상 경과에 대한 비교.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제9권 제2호 통권 제17호(p153-161)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 서울대학교병원
질병관리본부
네이버 지식백과
아동간호학Ⅰ,Ⅱ 홍경자 외 10 수문사
기본간호학Ⅰ,Ⅱ 양선희 외 8 현문사
간호와 영양 진은희 외 1 군자출판사
실습학생들을 위한 CASE STUDY 에듀퍼스트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Ⅰ·Ⅱ, 수문사.
권소희 외(2019). 핵심 건강사정, 수문사.
이은희 외(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송경애 외(2019). 최신 기본간호학 Ⅰ·Ⅱ, 수문사
이준철 외(2019). 최신 병리학, 수문사.
최스미 외(2018). 핵심 인체 구조와 기능,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