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정형외과 분야에서 CAST, SPLINT, 보조기, 견인 장치 등은 환자 치료와 재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CAST는 골절 부위를 정복된 상태로 유지하고 고정하며, SPLINT는 근골격계 손상 부위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통증을 최소화하고 추가 손상을 예방한다. 보조기는 신체기능을 보조하거나 교정하는 장치로써, 다양한 종류의 보조기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사용된다. 견인 장치는 골절의 정복과 고정, 근육경련 이완, 관절 구축 예방 등을 위해 활용된다. 이러한 정형외과적 치료 방법들은 각각의 목적과 특성을 가지고 있어, 환자의 상태와 병변에 따른 적절한 적용이 필요하다.
2. CAST
2.1. CAST의 정의와 목적
CAST는 골편을 정복된 상태로 유지하고 고정하는 것이다. 균일한 압박으로 변형을 예방하며, 조기에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관절염 대상자의 관절구축 예방, 골절 부위의 고정, 손상된 부위의 지지를 위해 사용된다. 또한 완전히 치유될 때까지 손상 부위를 보호하며 기형을 교정 및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2.2. CAST의 종류
단상지 석고붕대(short arm cast)는 손의 뼈와 요골하부의 골절이나 손목골절을 치료하기 위해 적용된다. 손가락 마디 관절의 손상이나 손가락뼈의 골절이 함께 있을 때는 손가락 부목을 대준 단상지 석고와 연결하여 사용한다.
장상지 석고붕대(long arm cast)는 팔꿈치 관절의 손상이나 상박골의 골절 시, 전박골의 골절 및 손목인대의 손상 시, 그리고 carpal bone의 경미한 골절 시 적용된다.
상박현수석고(hanging arm cast)는 대상자가 서 있을 때 상박과 어깨관절 부위를 지지하며, 석고의 무게는 어깨의 가벼운 견인 역할을 한다. 어깨의 손상이나 상박의 경부골절, 상박의 간부의 나선형이나 복합성 골절 치료 시 사용한다.
단하지 석고붕대(short leg cast)는 발목이나 발에 골절이 있을 때 무릎 아래에서 발목까지 감는 형태로, 발가락을 노출시켜 감각, 운동정도, 순환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관절을 자유롭게 움직이며 체중부하가 필요한 경우에는 보행용 뒤축을 제공한다. 발목관절은 90도의 각도를 유지하고 뒤꿈치가 해부학적 위치가 되도록 고정한다. 특히, 비골신경이 압박을 많이 받으면 마비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관찰이 중요하다.
장하지 석고붕대(long leg cast)는 단하지 석고붕대에 무릎관절을 지나 서혜부까지 석고붕대로 고정하는 것이다. 무릎관절이나 대부의 심한 골절, 경골, 비골, 발목뼈의 경미한 골절 치료 시 사용한다. 유사한 형태로 원통형 석고(sylinder cast)도 있는데, 이는 발과 발목을 제외한 하지를 원통형으로 감는 것이다.
체간부 석고(body cast)는 흉곽상부에서 치골부까지 몸통부분을 석고로 고정하므로 머리와 어깨, 사지에 자유롭다. 장골능을 덮지만 둔부와 치골부위가 노출되며, 때에 따라서는 대퇴부와 골반부와 경추를 포함하기도 한다. 가슴과 복부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석고 전면에 창구를 만든다.
수상석고(spica cast)는 척추골절의 고정이나 척추유합술 후, 또는 척추손상의 치유를 위하여 사용한다. 어깨, 고관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2.3. CAST의 합병증
CAST는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첫째, CAST로 인한 혈류 손상이다. CAST로 사지에 압박이 가해질 경우 맥박 소실, 청색증, 동통, 피부의 냉감, 말단부 부종, 감각 이상,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둘째, 뼈 돌출부의 신경에 압박이 가해져 신경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통증이 증가하거나 지속되고, 운동 기능 악화 및 마비가 생길 수 있다. 셋째, CAST 부위나 주변에서 냄새가 나고 배농 및 배액물이 발생하는 등 감염 및 조직 괴사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갑작스런 체온 상승, CAST 부위의 작열감이 나타날 수 있다. 넷째, 주로 꽉 조이는 체간부 CAST로 인해 상장간막동맥이 십이지장을 압박하여 폐쇄를 일으키는 CAST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속되는 오심과 구토, 복부 팽만과 복통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이상과 같은 CAST의 합병증은 세심한 관찰과 예방적 간호를 통해 최소화할 수 있다.
2.4. CAST 대상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