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관리 QI 보고서 - 환자인식팔찌 착용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주제 선정 배경
2. 현황 조사
2.1. 현장조사 결과
2.2. 설문조사 결과
3. 문제 분석
3.1. 환자 측 요인
3.2. 의료진 측 요인
3.3. 병원 측 요인
4. 목표 설정
5. 개선 활동 계획
5.1. 환자 교육
5.2. 의료진 교육
5.3. 인식팔찌 개선
6. 실행 및 평가
7. 추후 계획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주제 선정 배경
병원은 환자를 잘 치료하는 것과 동시에 유해한 사고로부터 환자를 보호해야 한다. 의학이 발전할수록 진료의 과정도 복잡해지며, 복잡한 진료 과정 중 한 단계라도 사소한 오류가 발생하면 환자에게는 심각한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복잡한 진료과정의 오류를 줄여 환자의 안전을 높이는 것은 좋은 병원이 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환자 확인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엉뚱한 환자에게 투약, 수혈, 주사를 할 수 있으며 다른 환자의 검사결과를 적용하여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환자확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 사례는 진료의 모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기에 다양하고 그 결과는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환자확인은 병원의 진료업무의 기본이자 유해사고 예방에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안전장치이다.
환자인식팔찌는 이러한 환자확인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다. 그러나 환자들은 환자인식팔찌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해 걸리적거린다는 이유로 빼서 버리거나 왜 안차고 있냐고 물으면 서랍에 있다고 대답하는 등 환자인식팔찌가 의료사고 발생을 줄이기 위한 기본임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환자들은 잠재적인 의료 사고라는 예기치 않은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이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2. 현황 조사
2.1. 현장조사 결과
61병동에 입원해 있는 환자들의 환자인식 팔찌 착용율을 조사하였다. 조사일시는 2019년 4월 28일이다. 총 43명의 환자 중 32명이 팔찌를 착용하고 있어 팔찌 착용율은 74%이다. 01호실에서는 4명 중 4명이, 02호실에서는 5명 중 3명이, 03호실에서는 4명 중 3명이, 05호실에서는 6명 중 5명이, 06호실에서는 6명 중 5명이, 07-16호실에서는 1명 중 0명이, 17호실에서는 2명 중 2명이, 18호실에서는 2명 중 1명이, 19호실에서는 2명 중 2명이, 20호실에서는 1명 중 1명이, 21호실에서는 2명 중 2명이, 22호실에서는 6명 중 4명이 팔찌를 착용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61병동 입원 환자의 환자인식 팔찌 착용율은 74%임을 알 수 있다.
2.2. 설문조사 결과
설문지 배부 43부 중 39부가 회수되었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환자의 46%만이 간호사에게 환자인식팔찌 착용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반면 간호사는 72%가 환자인식팔찌를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간호사 외 다른 의료진은 41%만이 환자인식팔찌를 확인하고 있었다. 환자인식팔찌에 대한 만족도는 44%가 만족하고 56%가 불만족하여 불만족하는 환자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불만...
참고 자료
정면숙 외, 현문사, 알기 쉽고 현장감 있는 간호관리학 제3판, 2018
김성열, 병원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5~6, p10~12, 2015
이광자 외, 신광출판사,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실제, 2014
양선희 외, 현문사, 기본간호학II, 2014
김수배 외, 애듀팩토리, 실무중심의 병원마케팅 관리, 2015
염영희 외, 수문사, 간호관리학,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