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저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90mmHg보다 낮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저혈압은 갑자기 발생하는 저혈압과 수축기 혈압이 80~110mmHg 정도인 만성 저혈압으로 나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본태성 저혈압, 급성 저혈압 또는 쇼크, 기립성 저혈압, 식후 저혈압, 약제에 의한 저혈압 등이 그것이다. 저혈압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치료 및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해 상세불명의 저혈압 환자의 사례를 분석하여 그 특성과 원인, 치료 및 간호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상세불명의 저혈압에 대한 사례 연구
2.1. 저혈압의 정의 및 원인
수축기 혈압이 90mmHg보다 낮은 상태를 저혈압이라고 한다. 이완기 혈압 또한 60mmHg 미만일 경우 저혈압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개인의 나이, 동반 질환, 생리 기능 등에 따라 혈압이 낮은 것에 대한 적응도가 달라지므로, 수치적인 기준보다는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저혈압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저혈압의 원인으로는 크게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저혈압과 만성적으로 낮은 혈압 상태인 본태성 저혈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갑작스러운 저혈압의 주요 원인으로는 출혈, 체액 감소, 심근경색증 등의 심장 질환, 패혈증 등이 있다. 본태성 저혈압은 인구의 1~2% 정도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치료 대상이 되지 않는다.
기립성 저혈압은 일어날 때 일시적으로 혈압이 저하되는 경우로, 나이가 들수록 심혈관계가 혈압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탈수, 약물 복용 등의 상황에서도 기립성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
식후 저혈압은 식사 후 많은 양의 혈액이 소화기계로 분포되어 상대적으로 다른 장기의 혈액 공급이 감소하면서 발생한다. 노인이나 질병이 있는 경우 자율신경계의 보상 기능이 저하되어 식후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
약물에 의한 저혈압도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고혈압약, 협심증약, 파킨슨병약 등 다양한 약물 복용 시 저혈압이 유발될 수 있다.
2.2. 저혈압의 병태생리
혈압은 심장이 혈액을 신체 전체로 펌핑하는 힘과 혈관 벽에 대한 혈액의 저항력에 의해 결정되므로, 저혈압은 혈액의 볼륨이 감소하거나 혈관의 저항력이 감소하여 발생할 수 있다. 저혈압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기 위해 몇 가지 주요 요소를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심장 출력 감소이다. 심장이 충분한 양의 혈액을 펌핑하지 못하면 전신으로의 혈액 공급이 줄어들어 저혈압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심장 질환, 심장 마비, 심장 판막 문제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둘째, 혈관 확장이다. 혈관이 너무 많이 확장되면 혈액이 신체 전체에 덜 효율적으로 분배되어 혈압이 떨어질 수 있다. 이는 약물 반응, 감염, 신경계 손상 또는 특정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셋째, 혈액 볼륨 감소이다. 혈액량이 감소하면 혈압이 감소할 수 있다. 이는 탈수, 심한 출혈, 화상, 심한 설사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넷째, 자율 신경계의 이상이다. 자율 신경계는 심장 박동수와 혈관의 폭을 조절하여 혈압을 조절한다. 이 시스템의 이상은 혈압을 비정상적으로 낮출 수 있다.
다섯째, 알부민 저하와 같은 특정 상태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알부민 수치가 낮으면 혈관 내 콜로이드 삼투압이 감소하여 혈액 볼륨이 줄고 결국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혈액역학적 요인의 변화에 따라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
2.3. 저혈압의 진단
저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90mmHg보다 낮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완기 혈압은 수축기 혈압에 비해 환자의 기능 장애를 동반하는 저혈압 상태를 잘 반영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