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주제에 따른 사례
32세 박OO은 21세에 처음 환청과 불안증상을 호소하여 정신과병원에 입원하였고 schizophrenia 진단을 받았다. 이후 꾸준히 약을 복용하였으나 1년 전부터 약물복용을 중단하고 취업을 준비하다 실패하자 불안감이 증가하여 2주 전부터 밤낮으로 불안증상이 악화되었다. 가족의 설득에도 불구하고 약물 복용을 거부하였고 폭력적인 행동까지 나타나 응급입원 되었다.
현재 A병원에 입원 중이며 편집증적 사고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타인에 대한 피해망상으로 인해 불안감이 높아 병실을 벗어나지 않으려 하고 자신을 해칠 것 같은 타인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개인위생도 불량한 상태이다. 약물 부작용에 대한 우려로 처방된 약물도 규칙적으로 복용하지 않으려 하고 있다.
2. 환자정보
박OO은 32세의 여성으로 편집조현병과 비기질성 불면증 진단을 받았다. 주요 증상으로는 "누가 나를 욕하고 다니는 것 같아요", "일부러 취업에 실패하게 만들려고 욕하고 다녀요", "따라다니면서 나를 괴롭히는 것 같아요" 등의 피해망상을 보이고 있다. 현재 올란자핀, 쿠에타핀, 마그밀, 리페리돈, 리보트릴, 로라반 등의 약물 치료를 받고 있다.
박OO은 21세에 환청과 불안증상이 처음 나타나 3주간 입원치료를 받았다. 이후 꾸준히 약을 복용하며 생활했으나 1년 전부터는 취업을 위해 약물복용을 중단하였다. 최근 2주 전부터는 수면 부족, 타인에 대한 적대감, 폭력적 행동 등의 증상이 관찰되어 응급입원하게 되었다.
현재 A병원에 입원 중이며, 망상으로 인한 불안감, 불면증, 자기관리 부족 등의 문제를 보이고 있다. 치료 중에도 약물복용을 거부하고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3. 시나리오 학습계획
주차마다 다음과 같은 내용을 학습한다.
1주차에는 주제에 관련된 정신간호자료를 사정한다. 조현병 대상자의 증상, 문제행동, 약물 복용 현황 등 주요 정보를 파악한다.
2주차에는 주제에 맞는 간호문제 및 해결방안을 작성한다. 대상자의 피해망상적 사고, 폭력적 행동, 자가간호 어려움, 약물 복용 문제 등 핵심 간호문제를 도출하고 간호중재 방안을 마련한다.
3주차에는 치료적 의사소통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다. 대상자와의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