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로스만의사회계획모델의구체적예를제시해주세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개요
1.2. 로스만의 3가지 모델 소개
2. 본론
2.1. 로스만의 3가지 모델
2.1.1. 지역사회개발모델
2.1.2. 사회계획모델
2.1.3. 사회행동모델
2.2. 지역사회개발모델 사례 분석
2.2.1. 새마을 운동
3. 결론
3.1. 로스만 모델의 실천적 함의
3.2. 지역사회복지 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 역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개요
지역사회복지란 지역사회를 단위로 하여 지역 사회 구성들의 복지를 실현하려는 사회적 노력이다. 사회복지를 실현하는 수단이나 방법의 대상이 지역사회이다. 지역사회의 대상으로 실시하는 복지를 넘어서 지역사회의 특성과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중, 전문적 개입이 필요한 사회복지학의 특성상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회복지 개입이 요구된다. 전통적인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로써 로스만 모델, 테일러와 로버츠 모델, 웨일와 겜블의 모델 등이 있다. 로스만 모델의 3가지 모델에 대해 더 알아볼 필요가 있다.
1.2. 로스만의 3가지 모델 소개
로스만은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대표적인 3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사회개발모델은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해결을 통해 주민들의 능력향상과 사회통합을 목표로 한다. 지역사회의 각 집단은 파트너가 되어 지역사회문제에 대처하는 능력과 협력을 향상시키는데 노력한다. 그러나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주민의 합의 도출 과정이 현실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둘째, 사회계획모델은 지역사회의 구체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합리적인 접근을 강조한다. 문제규정, 욕구사정, 목표개발, 실행 및 평가의 과정을 중시하며, 전문가의 개입이 중요하게 작용된다. 하지만 자원의 제약으로 인해 접근이 어려울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셋째, 사회행동모델은 지역사회 내 소수계층이나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대변하여 기존의 자원, 권력, 의사결정구조 등을 재분배 및 재편한다. 여성운동, 빈민운동, 환경운동이 대표적이지만, 집단 간 심각한 갈등을 초래하거나 지역사회주민들의 저항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처럼 3가지 모델은 각각 지역사회의 합의 도출, 전문성 기반의 문제해결, 사회계층 간 권력 재배분을 중심으로 접근한다고 할 수 있다.
2. 본론
2.1. 로스만의 3가지 모델
2.1.1. 지역사회개발모델
지역사회개발모델은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능력 향상과 사회통합을 목표로 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에서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집단이 파트너가 되어 지역사회 문제에 대처하는 능력과 협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노력한다.
지역사회개발모델은 주민들의 합의 도출 과정이 현실적이지 않다는 비판이 있지만, 지역사회 고유의 특성과 여건에 맞추어 진행되는 특...
참고 자료
양만재. (2012). 지역사회복지 정체성에 관한 비판적 분석:[지역사회복지론] 교재의 이론적 지식과 가치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36), 105-151.
박태영. (2012).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3, 639-668.
지역사회복지론, 이지복, 강인숙 등, 정민사
지규옥. (2015).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로서의 협동조합운동. 사회복지정책, 42(1), 187-210.
최옥채. (2011). 지역사회복지 정체성 탐색: 사회복지실천 관점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8, 5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