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의 기술 동향
2.1. 사물인터넷 기술 적용 국내외 기업사례
2.2. 향후 발전 방향 및 기대효과
3. 농업분야의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 활용
3.1. 사과 과수원의 노지형 스마트팜 재배
3.2. 농업 경영의 빅데이터 활용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산업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IoT)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농업 분야에서는 작물 재배와 농장 관리의 자동화, 최적화된 생육 환경 조성,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지원 등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기술이 농업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향후 발전 방향과 기대효과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국내외 기업 사례를 살펴보고, 이어서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이 농업에 미치는 영향과 발전 방향을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농업 경쟁력 강화와 지속가능한 농업 실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2.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의 기술 동향
2.1. 사물인터넷 기술 적용 국내외 기업사례
삼성전자는 에너지, 애완동물 케어, 게임, 헬스 등 주요 주제를 가전, 모바일 제품과 함께 사용 가능한 'Smart things'(이하 스마트싱스)를 IoT 사업으로 내세우고 있다. 스마트싱스는 삼성의 스마트홈 플랫폼으로, 다양한 제조사의 스마트 기기들을 통합하여 한 곳에서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조명, 카메라, 센서 등과 호환되어 사용자의 스마트홈을 만들 수 있다.
집의 입구에서부터 삼성은 스마트 도어락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을 통해 문을 원격으로 제어하고, 비밀번호나 지문인식 등의 다양한 인증 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 현관에서는 스마트싱스를 통해 에너지 사용량부터 누진 구간 관리, 예상 전기 요금을 한눈에 확인하고, 'AI 절약모드'와 '탄소 집약도 인사이트'로 에너지 및 탄소 저감량을 확인할 수 있다.
거실에서는 IoT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TV로 스마트폰이나 음성 명령을 통해 TV를 제어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홈 카메라 360'과 '비스포크 제트봇 AI'를 통해 가족들이 외출 시 반려동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지켜보고, 음악이나 백색소음을 원격 재생하여 편안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다. 또한, '갤럭시 스마트태그 2'로 '스마트싱스 펫 케어'에서 산책 모드를 통해 반려동물의 산책 기록도 확인해 볼 수 있다.
공기청정기 블루스카이는 트리플청정(PM2.5M10.가스) 센서로 집안 공기 상태를 밖에서도 점검하고 원격 제어 가능하며, 필터의 오염 상태 확인과 교체 시점까지 앱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에어컨 또한 앱으로 집 안팎 언제 어디서나 제어할 수 있다. 온도, 습도, 청정도를 측정해 냉방에서 제습, 무풍까지 알아서 조절해주고 수면 패턴에 맞추어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취미 공간에서는 '게이밍 허브'를 통해 별도의 콘솔 없이도 다양한 게임을 할 수 있고, 갤럭시 기기들을 연동해 삼성 멀티 컨트롤, 세컨드 스크린, 퀵쉐어 등 연결성을 극대화하는 갤럭시 에코 시스템 경험도 가능하다. 휴식 공간에서는 '갤럭시 워치'를 통해 스트레스 지수부터 혈압, 심박수, 심전도 등 건강 지수 측정과 함께 수면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수면 코치도 받을 수 있다.
주방에서는 냉장고 셰프컬렉선 패밀리허브를 통해 아침마다 모닝 브리프 기능으로 오늘 날씨를 음성으로 말해주고, 푸드매니지먼트 2.0 기능으로 냉장고 안 음식 재료를 파악하고 부족한 식자재를 온라인 쇼핑으로 구매할 수 있다. 또한, 푸드레시피 기능으로 셰프가 완성한 요리 레시피를 음성으로 전달해 주며, 밀키트와 간편식 바코드를 스마트싱스 앱으로 스캔하면 비스포크 큐커에서 최적의 조리 값을 설정해주는 스캔쿡 등 스마트한 요리 기능을 체험할 수 있다.
세탁기와 건조기도 앱을 이용하여 귀가 시간에 맞춰 세탁할 수 있고 세탁소요 시간과 세탁종료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주식회사엘오티머트리얼즈(Lot Materials)는 2011년 창립한 부품 가공 전문 회사로, 2019년 사옥을 이전하며 디지털화 설비를 구축했다. 공정 무인화 구현 및 생산, 품질 극대화를 위해 생산기획부터 실시간 생산현황, 품질관리, 출하까지 생산의 모든 워크플로와 자재 수불관리를 ERP 시스템화하는 MES를 구현했다. 전문적인 인사와 회계 관리 ERP, 회사 이메일 메신저를 비롯한 근태관리, 전자결재 등 전문 그룹웨어도 도입했다. 이를 통해 시스템화를 통한...
참고 자료
이용자용 통계정보보고서_사물인터넷 산업실태조사_2022 통계청
https://bit.ly/3Sd2GMC 삼성전자, ‘KES 2023’서 ‘스마트싱스’로 연결하는 스마트 라이프 제안 외 삼성 뉴스룸 사물인터넷 기사 발췌
https://www.wbridge.or.kr/platform/careersport/info/selectTrendDetail.do?ntt_sn=274 사물인터넷 분야 정부 지원과 교육
https://www.wbridge.or.kr/platform/careersport/info/selectTrendDetail.do?ntt_sn=272&utm_source=email&utm_medium=newsletter&utm_campaign=7%EC%9B%94+8%ED%98%B8_%EC%BB%A4%EB%A6%AC%EC%96%B4%ED%8A%B8%EB%A0%8C%EB%93%9C
국내 IoT 기업의 현황과 활약상
https://spri.kr/posts/view/22557?code=data_all&study_type=industry_trend 사물인터넷 시장 및 주요 기업 동향 박태형 SW 기반정책·인재연구실 책임연구원
권용덕 (2012), “농업과 IT 융합 기술을 활용한 경남 IT 농업의 방향과 과제”경남정책 Brief, pp. 1-12
김유열 (2018), “농업 6차산업의 유형에 따른 ICTㆍBT 융ㆍ복합 활용이 농업경영체의 소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pp.1-129
김주태,한종수 (2017), "사물인터넷에 의한 농업경영혁신 : 스마트농장의 사례", 한국디지털정책학회, pp.65-75
이태호, '미래형 노지 사과 스마트팜 시스템' 구축 '관심', 전업농신문, 2022.04.20
주찬영,박선호,박영주,이도현,김장호,손형일 (2017), "미래 농업을 위한 바이오시스템공학", 제어로봇시스템학회, pp.43-57
정동일(2020),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센서 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석사학위논문.
한종성(2019), 노지형 스마트 팜 필요성에 관한 연구 -스마트 쉐이딩 시스템 설계, 전주대학교 대학원 Smart Agro_ICT 융합학과 석사학위논문.
김경필, 구자춘, 안현진, 한정훈(2016), 농림업분야 빅데이터 활용도 제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배동민, 박현수, 오기환(2013), 「빅데이터 동향 및 정책 시사점」, 방송통신정책, 25(10), pp. 37-74
박경아, 이경계(2019), 「2019 농업전망: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를 이끄는 빅데이터 활용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삼정KPMG(2020), 「스마트 농업과 변화하는 비즈니스 생태계」, 이슈모니터 제125호.
안문형, 「농업벤처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TOE 프레임워크 관점을 중심으로 -」,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농산업시스텝경영전공 박사학위논문.
이서구(2015), 「빅데이터 분석에 관한 마케팅적 접근」, 대한경영학회지, 28(1), pp. 21-35
이훈혜(2014),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 방안」, KIET 산업경제, pp. 45-54.
정의진, 임현, 장제연, 정고운(2020), 「데이터 농업의 미래」, KISTEP 미래예측 브리프, 2020-3호.
채승병, 박성민(2013), 「스마트 뉴딜(New Deal): 공공데이터 개방과 기업의 활용」, CEO Information, 907호, 삼성경제연구소.
허철무, 안문형(2021), 『스마트팜 경영전략』, 청람.
McKinsey(2011), Big data: The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on, and productivity, McKinsey&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