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만성신부전증(Chronic Kidney Disease)
1.1. 정의 및 병태생리
만성신부전증은 신장이 생명의 유지에 필요한 내적 환경의 유지 능력이 없고 신장의 손상이 불가역적인 상태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건강한 상태에서 만성질환으로의 변화가 수년에 걸쳐 서서히 발생한다. 희귀한 감염과 신장염의 악화, 요로폐쇄, 당뇨성 혈관 파괴, 만성 고혈압은 신장의 손상과 신기능의 점진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만성 신부전의 원인은 지역 및 나이 등에 따라 다르지만, 대한신장학회가 만성콩팥병 5단계인 투석 또는 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말기신부전등록사업에 따르면 성인 만성신장질환의 4대 원인은 당뇨병과 사구체신염, 고혈압, 상염색체우성 다낭신종 등이며 그 중 당뇨병의 비중이 약 45%나 차지한다. 만성 신부전의 진행단계는 신예비력의 감소, 신기능부전, 말기 신부전으로 구분된다. 신장 손상이 진행되면 요소, 크레아티닌과 같은 대사성 노폐물이 혈액 속에 과도하게 축적되어 항상성 유지가 어려워지며, 투석이나 다른 신기능 대체요법으로 치료하게 된다.
1.2. 임상 증상
만성신부전증의 주요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조혈계에서는 적혈구 생성 억제로 인한 빈혈과 피로감이 나타나며, 혈소판 기능 저하로 인한 경미한 출혈 증상이 발생한다. 심혈관계에서는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한 과혈량증과 고혈압, 심낭염 등이 관찰된다. 호흡기계에서는 대사성 산증으로 인한 보상성 빈호흡이 나타난다. 위장관계에서는 식욕부진,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있으며, 신경계에서는 요독증으로 인한 무감동, 의식 저하, 경련 등이 발생한다. 골격계에서는 칼슘 및 인 대사 장애로 인한 골 이영양증이 나타나고, 피부에서는 색소 침착, 소양증 등이 관찰된다. 생식계에서는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증상이 발생한다. []
1.3. 진단적 평가
만성신부전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검사를 시행한다. 먼저 빈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CBC 검사를 실시한다. 빈혈은 만성신부전증의 특징적인 증상이다. 또한 혈청 크레아티닌과 혈청 요소질소가 상승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는 대사성 노폐물의 축적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혈청 칼슘, 중탄산염, 단백질 특히 알부민의 감소도 확인한다. 이는 신장의 기능 저하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과 영양 상태 저하를 반영한다. 동맥혈 가스분석을 통해 낮은 pH, 낮은 CO₂, 낮은 HCO₃ 수치를 확인하여 대사성 산증을 진단할 수 있다.
24시간 소변 검사를 통해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측정하여 신기능 정도를 확인한다. 단백뇨 유무도 확인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신장기능 저하 정도와 신장 손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검사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만성신부전증의 진단과 단계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적절한 치료와 관리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1.4. 치료 및 관리
만성 신부전증 환자의 치료와 관리는 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약물요법, 영양요법, 신기능 대체요법 등을 통해 질병의 진행을 늦추고 합병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약물요법으로는 이뇨제를 사용하여 혈압과 수분 조절을 하며, 강심제와 전해질 보충제를 통해 합병증을 관리한다. 이뇨제는 혈압 조절과 수분 과다 조절에 효과적이며, 강심제는 심부전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 시 사용된다. 또한 전해질 불균형을 치료하기 위해 전해질 보충제가 처방된다.
영양요법은 질병의 진행 예방과 합병증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백질 섭취를 제한하여 요독증을 예방하고, 나트륨, 칼륨, 인 섭취를 조절하여 전해질 불균형을 관리한다. 비타민 D 보충제를 통해 골이영양증을 예방한다.
신기능 대체요법은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이 주로 이용된다. 혈액투석은 체외순환을 통해 혈액 내 노폐물과 과잉수분을 제거하고, 복막투석은 복강 내 투석액을 이용한다. 이러한 신대체요법은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생명을 유지하고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