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이상심리학 정신장애 사회적 편견 낙인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정신장애와 사회적 편견
2.2.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미디어의 역할
2.3. 정신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인권침해
2.4. 정신장애인의 사회 참여 및 지원 방안
2.5.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사회적 노력
3. 결론
3.1. 정신장애에 대한 올바른 인식 정립의 필요성
3.2. 정신장애인의 인권 보호와 사회적 통합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은 여전히 우리 사회에 뿌리 깊게 자리잡고 있다. 정신장애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구조적 인식과 관행의 문제이다. 이러한 편견은 정신장애인들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고, 치료와 재활을 가로막아 결국 사회적 문제로 불거질 수 있다.
최근의 언론보도에서도 정신장애인과 범죄의 연관성을 과도하게 강조하거나 사실관계를 왜곡하여 보도하는 등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강화시키고 있다. 이는 대중들로 하여금 정신장애인을 잠재적 범죄자로 인식하도록 만들어, 실제로 정신병원 설립에 반대하는 차별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결국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은 그들의 기본적 인권을 침해하고, 치료와 사회복귀의 기회를 박탈하는 문제로 이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과 사회가 함께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편견 없이 그들을 포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언론과 교육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며,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도 정신건강 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정신장애인의 인권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본론
2.1. 정신장애와 사회적 편견
정신장애는 정상적인 인지, 감정, 행동 능력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정신장애인들은 감정, 사고, 행동 등에서 일시적 또는 지속적인 장애가 나타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차별과 편견을 받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일부 미디어는 정신장애인을 무능하고 위험하며 사회적 가치가 없는 인간으로 표현하고, 정신장애와 강력범죄를 불필요하게 연관 지어 보도하고 있다. 이러한 왜곡된 보도는 대중들로 하여금 정신장애인을 잠재적 범죄자로 인식하게 만들고 있다.
이에 따라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낙인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정신병원 설립을 반대하거나 구직 및 교육에서 차별을 받는 등 정신장애인들은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기 어려운 환경에 놓여 있다. 이는 정신장애인의 치료와 재활을 방해하고 사회 참여를 가로막아 결국 이들을 고립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미디어와 교육기관에서의 인식 개선, 정신장애인의 사회 참여 지원, 인권 보호 강화, 정신건강 지원 체계 마련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개인과 사회가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고 이들을 포용하는 태도를 가져야 할 것이다.
2.2.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미디어의 역할
정신장애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낙인은 대중매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언론은 정신장애인의 범죄 사례를 과도하게 부각시키거나 정신장애와 범죄행위 간 인과관계를 과장하여 보도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2019년 국가인권위원회의 실태조사에서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 형성에 대중매체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대중들로 하여금 정신장애인을 잠재적 범죄자로 인식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언론보도에서는 정신장애인에 의한 범죄 사건이 ...
참고 자료
이채식, 「장애인복지론」, 창지사, 2018
서미경, 「정신장애인의 인권」, 집문당, 2015
명흥규, 「정신장애」, 이길 수 있다, 북랩, 2022
서미경, 「사회적 낙인과 정신장애」, 양서원, 2020
이정숙, 「장애인복지론」, 공동체, 2022
임종호 외, 「장애인복지론」, 학지사, 2022
김상인, 「정신건강과 성격장애를 위한 상담 실제」, 만남과치유, 2014
김혜선, 박도원, 홍영은,“정신장애 범죄에 대한 언론보도 경향과 범죄위험성 인식: 신문기사 분석과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단, 장애의 재해석, p214.
고영건 외 18인,「이상심리학」, 학지사, 2021, p21-26.
김정은,“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표상 연구-한국 영화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p11-12.
박지선,“정신질환자들의 범죄위험성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 대한조현병학회, 대한조현병학회지, 제18호, p16.
서미경, 김정남,“정신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스티그마와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스티그마의 비교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신경정신의학, 제44호, p371.
국립정신건강센터,“2024년 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 조사 발표”, 2024, p1.
국가인권위원회,“정신장애인 인권 보고서”, 2021, p41-43.
김미영 kmy@ggilbo.com,“조현병, 대체 어떤 병이길래…‘강남역 살인사건 원인도 조현병’”, 금강일보, 2017.11.13.
김지영 gutjy@mbn.co.kr,“정신질환자 40만 명 방치…범죄자 전락 우려”, MBN뉴스, 2017.04.18.
김태성 mrkim@kyeongin.com,“오산 세교신도시 주거지 정신병원 폐쇄병동 상식밖”, 경인일보, 2019.05.01.
류원혜 hoopooh1@mt.co.kr,“주거지에 정신병원이라뇨?…조현병 환자 범죄로‘님비’현상?”, 머니투데이, 2019.05.16.
송영두 duden1212@naver.com,“조현병 환자, 30cm 가량 군용 칼 들고‘죽이겠다’”, 금강일보, 2018.11.12.
윤청신 powerman02@hanmail.net,“조현병이란? 강남역 화장실 살인, 진주 아파트 방화 살인 등 수많은 안타까운 사건들”, 폴리뉴스, 2019.06.05.
이한희 hnhn0414@mdtoday.co.kr,“정신질환 범죄자 재범률 65%…재소자 수감·출소 체계적 관리 시급”, 메디컬투데이, 2023.08.22.
장강호 callme@hankyung.com,“정신질환자 범죄 1년새 27% 급증”, 한경, 2022.01.05.
정인지 todaynew@ntoday.co.kr,“‘서현역 사건’최원종 앓은‘조현성 인격장애’…2명 중 1명 진료 안 받아”, 투데이신문, 2023.10.06.
조동주 djc@donga.com,“정신질환 공익요원 한밤 귀가여성 잔혹살해”, 동아일보, 2014.03.24.
진나연 jinny@daejonilbo.com,“대전 서구 아파트서 묻지마 폭행…‘가해자는 조현병’”, 대전일보, 2024.01.13.
천선휴 sssunhue@news1.kr,“신림동 성폭행·살해범도 우울증…‘범죄의 불씨’정신질환 치료 시스템이 없다”, 뉴스1, 2023.08.20.
홍완기 wangi0602@doctorsnews.co.kr,“정신병원 개설 반대한 주민들 의협서 항의 집회”, 의협신문, 2019.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