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감염관리 환경 소독 체크리스트
1.1. 감염관리실 환경관리 서식 모음
환경 청소는 깨끗한 곳에서 더러운 곳, 높은 곳에서 낮은 곳 순서로 진행하며, 소독제를 이용한 분무 소독은 공기나 표면의 소독에 적합하지 않고 인체에 유해할 수 있으므로 하지 않는다. 또한 청소 및 소독 시 혈액, 체액, 땀을 제외한 분비물이나 배설물에 노출되는 상황에서는 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 오염된 청소용구는 바로 교환 및 소독한다.
소독 대상과 주기를 살펴보면, 병실의 경우 접촉빈도가 높은 표면은 매일 소독하고 일상적인 환경 표면은 월 1회 소독한다. 침대 매트리스, 베개, 상두대 등은 환자 퇴실 후 소독한다. 외래와 검사실의 경우에도 접촉빈도가 높은 표면은 매일 소독하고 일상적인 환경 표면은 월 1회 소독한다. 베개와 진찰대 등 수평 표면은 환자 퇴실 시 소독한다.
의료 영역의 경우 드레싱 카트 상층 표면과 처치용 트레이는 사용 전/후 소독하고, 노트북 키보드는 매일 소독한다. 의료영역 주변 환경의 혈압기 커프, 약품냉장고, 혈액냉장고 등은 주기적으로 소독한다.
소독제로는 락스, 애니오설프, 70% 알코올이 주로 사용된다. 의료기구와 환자 영역은 락스와 애니오설프를, 컴퓨터 및 전자기기는 70% 알코올을 사용한다.
1.2. 일반 환경 청소 및 소독 지침
청소 및 소독은 깨끗한 곳에서 더러운 곳, 높은 곳에서 낮은 곳 순서로 진행되어야 한다. 소독제를 이용한 분무 소독은 공기나 표면의 소독에 적합하지 않고 인체에 유해할 수 있으므로 실시하지 않는다. 청소 및 소독 시 혈액, 체액, 땀을 제외한 분비물이나 배설물에 노출되는 상황에서는 반드시 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 오염된 청소용구는 즉시 교환 및 소독해야 한다.
장소별로 청소 시기와 청소도구 및 방법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바닥, 벽, 창문, 문, 테이블, 침상, 의자, 드레싱카, 휠체어, IV pole, Walker 등을 일정 주기로 세척하고 소독한다. 커튼은 연 2회 교환하고, 매트리스와 세면대, 화장실, 쓰레기통도 주기적으로 관리한다. 격리병실은 소독제 사용 농도를 달리하고, 보호구를 착용하는 등 별도의 관리 절차를 거친다.
청소 및 소독 시 모든 소독제의 개봉 시 개봉일과 폐기일을 기입하고, 용기의 뚜껑을 닫아 보관한다. 락스는 찬물에 희석하며, 소독제 희석액의 희석 비율과 유효기간을 준수해야 한다. 소독액은 1일 사용량만 희석하여 사용하고 매일 교환한다. 원액 취급 시 개인보호구를 착용한다.
1.3. 환경소독 점검 체크리스트
1.3.1. 병동, 중환자실, 응급실, 인공신장실 등 부서용
병실의 접촉빈도가 높은 표면은 매일 소독한다. 여기에는 병실바닥, 침상난간, 침상테이블, 호출버튼, 전화기, 리모컨, 문 손잡이, IV pole, 전등스위치 등이 포함된다. 일상적인 환경 표면인 창문, 문, 조명 등은 월 1회 소독한다. 침대 매트리스, 베개, 상두대 등은 환자 퇴실 후 소독한다. 커튼은 분기별로 교체하거나 격리 환자 퇴실 시 교체한다.
외래와 검사실의 접촉빈도가 높은 표면도 매일 소독한다. 여기에는 바닥, 문 손잡이, 전등 스위치, 키보드, 침대난간 등이 포함된다. 일상적인 환경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