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직장구불결장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2. 이론적 고찰
2.1. 직장암 정의 및 병태생리
2.2. 직장암 발생 원인
2.3. 직장암 증상 및 진단
2.4. 직장암 치료방법
3. 간호중재
3.1. 수술 전 간호
3.1.1. 장 준비
3.1.2. 교육 및 정서적 지지
3.2. 수술 후 간호
3.2.1. 통증관리
3.2.2. 장루간호
3.2.3. 합병증 예방
3.2.4. 퇴원 및 재활 교육
4. 결론 및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직장암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질병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정기건강검진을 받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직장암의 초기 증상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직장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 예방과 조기발견의 중요성을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직장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고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2. 이론적 고찰
2.1. 직장암 정의 및 병태생리
직장암은 직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악성 종양이다. 직장은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길이는 약 15㎝이며 상부, 중부 하부 직장으로 나눌 수 있고, 천골의 앞면에서 가운데를 따라 내려가 항문에서 끝난다. 직장은 파이프 모양의 관으로 안쪽에서부터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 등 4개의 층으로 나뉘어져 있다. 대부분의 직장암은 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며, 이 외에도 유암종, 림프종, 육종, 편평상피암, 다른 암의 전이성 병변 등이 있다.
직장암은 일반적인 대장암과 마찬가지로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동물성 지방의 과도한 섭취, 섬유질 섭취 부족, 칼슘 및 비타민 D 부족, 고온 조리법, 운동 부족, 염증성 장 질환, 대장 용종 등이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유전적 요인으로 가족성 용종증,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 등이 있다.
직장암의 병태생리를 보면, 대부분의 직장암은 선종성 용종이 진행되어 발생한다. 용종이 악성화되는 것은 크기, 조직학적 형태 및 이형성의 정도와 관련이 있으며, 약 5~12년이 걸린다. 직장암은 주로 간으로 침범하며, 인접 장기로의 직접 침범, 림프 및 혈액을 통한 전이도 일어난다. 병기는 종양의 크기가 아닌 침윤 정도에 따라 결정되며, Dukes 분류와 TNM 분류를 사용한다.
2.2. 직장암 발생 원인
50세 이상의 연령은 직장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대장암은 연령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경향이 있어 50세 이상의 연령에서 흔하게 발생하며, 특히 직장암의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연령은 60~70세이다.
선종성 용종은 대장암 발생의 전구 병변이다. 선종성 용종이 크기가 크거나, 조직학적으로 고등급 이형성증을 보일수록, 그리고 융모성 특성을 보일수록 악성화될 가능성이 높다. 선종성 용종은 암으로 진행되기까지 약 5~12년이 소요된다.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과 같은 염증성 장질환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대장암 발병위험이 높다.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경우 일반인보다 대장암 발생 위험이 10배 이상 증가하고, 크론병 환자의 경우 4~7배 증가한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대장암 발병 위험이 높다. 대장암이나 용종을 가진 환자의 가족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대장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 가족성 용종증과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과 같은 유전성 질환은 대장암 발병 위험을 증가시킨다.
동물성 지방 과다 섭취는 대장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지방 섭취가 많은 사람들에서 대장암의 발생이 높게 나타난다. 붉은색을 띠는 육류의 과다 섭취가 특히 대장암 위험을 증가시킨다.
섬유질 섭취 부족은 대장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섬유질, 야채, 과일 섭취가 충분하지 않으면 대장암 예방 효과가 감소한다.
칼슘과 비타민 D 섭취 부족도 대장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칼슘은 발암물질과 결합하여 용해되지 않는 염을 형성하고, 비타민 D는 대장암 사망률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육류를 고열에서 조리하는 것도 대장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고온 조리과정에서 생성되는 발암물질이 대장암 발생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신체활동 부...
참고 자료
조경숙, 김희경 외 8명 (2013), 『성인간호학 I』, 현문사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국가암정보센터 『http://www.cancer.go.kr』
드럭인포 『http://www.druginfo.co.kr/』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http://www.schmc.ac.kr/seoul/kor/index.do』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카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건강정보 『http://www.cmcseoul.or.kr』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http://www.nhimc.or.kr/index.do』
국민건강 정보포털 『http://health.mw.go.kr』
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
네이버블로그, 열정! 그 힘찬 맥박의 즐거움 『http://kimpulse.blog.me/220128773578』
송경애, 박형숙, 홍영혜, (2014), 『기본간호학』,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http://www.amc.seoul.kr』
성미혜, 김미영, 엄옥봉, 『자가통증조절장치를 이용한 통증관리 교육이 수술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 Korean J Health Promot 2010;10:169-176, pISSN: 1598-1401, eISSN: 2093-5676
마취통증의학회 『http://www.anesthesia.or.kr』
꿈을 만드는 곳 몽공장 『http://mongfactory.tistory.com/73』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 І」, 수문사, 9판 개정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대장암’
미생물학백과 ‘대장’
국립암센터 ‘대장암 검진 질지침’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대장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