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난소는 인체의 장기 중 가장 많은 종류의 종양이 발생하는 기관이며, 이러한 난소 종양은 크게 악성, 양성, 경계성으로 나뉜다. 최근 우리나라 여성에게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양성 난소 종양은 전체 난소 종양의 80~90%를 차지한다. 양성 종양이지만 악성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어 간과하면 안 되며, 발견이 어려운 여성 질환 종양이 많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양성 난소 종양에 대한 문헌고찰을 정확히 학습하고, 환자에게서 도출해낼 수 있는 간호진단을 내려 간호과정을 적용해보고자 한다.
난소 양성 종양은 배란과 관련하여 발생하며, 지속적인 배란이나 외부 자극에 의해 상피세포가 난소 내부로 함몰되면서 낭종이 형성되고 이 안에 액체가 고여 크기가 점점 커진다. 양성 종양이라도 악성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어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되며, 특히 발견이 어려운 여성 질환 종양이 많기 때문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양성 난소 종양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1.2. 양성 난소 종양의 정의와 특징
난소 양성 종양은 난소에서 발생하는 암이 아닌 종양을 말한다. 이는 크게 비종양성인 기능성 종양과 양성 종양으로 나뉜다. 기능성 종양에는 난포 낭종, 루테인 낭종, 황체 낭종, 다낭성 난소낭종, 자궁내막성 낭종이 포함되며 양성 종양에는 장액성 낭선종, 점액성 낭선종, 복막가점액종, 낭성섬유종이 포함된다. 양성 난소 종양의 분류는 종양을 구성하는 조직 세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뉘며, 연령별로 자주 발생하는 양성 종양의 종류가 다르다. 대부분 주기적인 배란을 하는 20-40대 가임기 여성에서 발생하지만, 일부는 소아나 사춘기에서도 발생한다. 젊은 연령에서 가장 흔한 양성 종양은 기능성 낭종으로 연구자들에 따라 15-20%의 유병률을 보고하고 있으며, 일시적으로 발생하여 특별한 처치 없이도 자연 소실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낭종일지라도 그 양상에 따라 다른 원인이 의심되거나, 고형 종양일 경우 충분한 의학적 검사가 필요하다.
2. 본론
2.1. 양성 난소 종양의 종류
양성 난소 종양은 구성 세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가장 흔한 종양은 장액성 낭선종이다. 장액성 낭선종은 모든 양성 난소종양의 15~25%를 차지하며, 대개 20~50세 사이에 발생한다. 이는 대부분 양성이지만 32~45%가 악성으로 변할 수 있다. 점액성 낭선종은 모든 양성 종양의 16~30%를 차지하며, 장액성보다 빈도가 약간 높고 양측성인 경우도 10%정도 있다. 악성 빈도는 5~10%이며, 호발연령은 30~50대이다. 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