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해위험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정신건강의 중요성
1.2. 우울증의 개념과 증상
1.3. 우울증의 원인과 위험 요인
2. 본 론
2.1. 우울증의 평가와 진단
2.1.1. 병력 청취와 임상 관찰
2.1.2. 정신상태 검사
2.1.3. 신체 및 임상 검사
2.2. 우울증의 치료 접근
2.2.1. 약물 치료
2.2.2. 정신치료
2.2.3. 신체치료
2.2.4. 정신사회적 중재
2.3. 간호사의 우울증 관리
2.3.1. 입원 환자 사정과 중재
2.3.2. 지역사회 내 우울증 관리
2.3.3. 가족 및 보호자 교육
3. 결 론
3.1. 우울증 관리의 중요성 강조
3.2. 간호사의 역할과 과제
3.3. 향후 과제와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1.1. 정신건강의 중요성
정신건강의 중요성이다. 정신건강은 개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과 행복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신체적 건강과 더불어 정신건강이 균형을 이루어야 온전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은 일상생활과 사회적 관계에 지장을 초래하여 완전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데 심각한 고통을 야기한다. 또한 우울증은 신체적 건강과 다른 의학적 진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신건강의 문제는 인류에게 가장 큰 부담을 초래하는 질환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정신건강의 증진과 질병의 예방, 관리는 개인과 사회 전체에 매우 중요하다.
1.2. 우울증의 개념과 증상
우울증은 슬픔이나 단기간의 우울과는 구별되는 병적 상태이다. 우울증은 객관적인 현실과는 무관하게 기분이 가라앉고 슬픔이 지속되는 정신질환이다. 우울증은 수면, 식사, 활동, 생각, 신체 등 개인의 전반적인 생활 영역에 영향을 주어 일상 활동을 수행하기 어렵게 한다. 우울증은 매우 흔한 정신질환으로, 다양한 인구와 연령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중증도와 지속기간에 따라 경증부터 중증까지 다양한 수준으로 발현된다. 우울증의 일반적인 특징은 일상생활과 사회적 관계에 지장을 주어 완전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데 심각한 고통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또한 우울증은 신체적 건강과 다른 의학적 진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 세계적으로 우울증은 가장 큰 부담을 초래하는 10대 질환 중 3위이며, 2030년에는 1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1.3. 우울증의 원인과 위험 요인
우울증은 다양한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첫째, 유전적 요인이다. 우울증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흔히 나타나며, 특정 가족이나 친척에서 발생률이 높게 나타난다. 쌍생아 연구에서 일란성 쌍생아의 경우 이란성 쌍생아보다 2~4배 높은 비율로 우울증이 발생한다. 둘째, 생체아민 가설이다.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불균형이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신경전달물질 이상은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질병 또는 약물 사용의 결과일 수 있다. 셋째, 신경 내분비계 작용 요인이다. 우울증에서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축의 기능이 항진되며, 심한 우울장애 대상자에서 코르티솔 분비가 증가한다. 넷째, 신경해부학적 요인이다. 시상하부, 기저핵, 전두엽 등의 기능 이상이 우울증의 증상과 관련이 있다. 다섯째, 정신분석적 요인이다. 상실감, 죄책감, 분노 등이 부적절하게 표현되면서 우울증이 발생한다. 여섯째, 인지 요인이다. 자신, 미래, 세상에 대한 부정적인 사고와 평가가 원인이 된다. 일곱째, 학습된 무력감 요인이다. 자신의 행동이 환경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고 믿게 되면 절망감과 수동성이 나타나 우울증을 유발한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가 중요한 위험요인이다. 대인관계 상실, 중요한 삶의 사건, 역할 변화 등이 우울증을 일으킬 수 있다.
2. 본 론
2.1. 우울증의 평가와 진단
2.1.1. 병력 청취와 임상 관찰
대상자는 58세 여성으로, 12년 전부터 우울증 증상을 보여왔다. 12년 전 남편이 위암으로 투병하면서 불안감과 우울감이 지속되었고, 2년 동안 눈물이 그치지 않는 등 증상이 지속되었다. 이후 10년 전 허리디스크 수술을 받았으며, 그 후 통증이 악화되면서 불안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대상자는 경상대학교병원에서 우울증 진단을 받고 3개월 입원한 적이 있었으나, 증상이 호전되어 10년간 외래 진료를 받다가 약을 중단하였다. 하지만 14개월 전 평소 복용해 오던 트라마돌 염산염 약물이 코로나로 인해 공급되지 않아 다른 약물로 바꾸면서 통증이 악화되었고, 그 시기에 교통사고까지 겪으면서 심한 불안과 통증을 호소하게 되었다. 대상자는 현재 신체화 증상으로 인해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불안감이 큰 상태이다.
2.1.2. 정신상태 검사
대상자는 일반적 용모가 비교적 청결한 모습이며, 키가 크고 마른 체구이다. 얼굴 표정은 우울한 편이다. 자세는 구부정한 편이다. 태도는 회피적이며 조심스러운 편이다. 정신운동 행동은 안절부절 못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언어와 의사소통 태도는 자발적이며, 언어생산성과 속도가 정상적이다. 언어의 고저와 톤도 정상적이다. 언어장애는 없다.
기분은 우울한 편이며, 정동 또한 적절한 편이다. 지각 장애는 없다. 사고과정 및 형태는 적절하나 비논리적인 편이며, 사고내용에서 신체망상이 있다.
지남력은 전반적으로 정상이며, 기억력과 주의집중력, 추상적 사고 능력도 정상이다. 판단력 또한 정상적이다.
병식은 질병의 전적인 부정 상태이다. 즉, 대상자는 자신이 병들었다는 인식이 없으며, 증상과 적응 실패를 자신의 비합리적 정서와 심리적 장애 때문이라고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2.1.3. 신체 및 임상 검사
혈액검사 결과 대상자의 일부 지...
참고 자료
이미형 외, 정신건강간호학, 2020, 현문사
정신간호총론 제7판(2017). 수문사. 임숙빈 외.
정신건강간호학(2020). 현문사. Margaret Jordan Halter 외. 김수진 옮김.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2016). JMK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4(2014).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신은주 옮김
간호과정 실무지침(2018). 개정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박경숙,정동영,and 정인숙. "KISE 한국형 개인 지능검사 개발 연구." 연구보고서 -.3 (2001): 1-158.
[네이버 지식백과] Rorschach test (이우주 의학사전, 2012. 1. 20., 이우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남보람.(2018).로르샤흐 잉크얼룩 검사 Rorschach Inkblot Test와 ‘갑질’.국방과 기술,(476),144-145.
[네이버 지식백과]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네이버 지식백과] 문장완성검사 [Sentence Completion Test, 文章完成檢査]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네이버 지식백과] TAT [thematic apperception test]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김기보. "성격검사로서 인물화 검사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지 7.1 (2007): 51-60.
김재민(Jae-Min Kim),신일선(Il-Seon Shin),윤진상(Jin-Sang Yoon),김정훈(Jung-Hun Kim),and 이형영(Hyung-Yung Lee). "지역사회 거주노인의 치매선별을 위한 MMSE-K 절단점수." 노인정신의학 5.2 (2001): 163-168.
[네이버 지식백과] X선 촬영 [X-ray]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양전자 단층촬영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