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 제시한 4대 권리에 대해 요약 설명하고 보육현장에서 영유아의 참여권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 제시한 4대 권리
2.1. 생존권
2.2. 발달권
2.3. 보호권
2.4. 참여권
3. 보육현장에서 영유아의 참여권이 보장되는 사례
3.1. 아동의 자율성과 참여를 존중하는 환경 조성
3.2. 아동의 의견 수렴 및 반영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아동은 미래사회의 구성원으로 앞으로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를 계승함에 있어서 앞으로 국가 운명을 결정할 중요한 존재이다. 때문에, 현대사회 아동복지는 매우 중요하다. 이는 특수한 장애가 있는 아동 및 부모로부터 버림받은 아동들을 보호하고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해주는 공공단체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는 아동복지가 고아나 버려진 아이, 빈곤층 아동 등을 대상으로 사회복지를 제공했지만, 오늘날 아동복지는 폭넓게 확대되어 특수 불우 환경의 아동뿐만 아니라 일반아동까지 포함한 모든 대상 아동들의 인권과 행복한 생활을 보장하는 목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2.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 제시한 4대 권리
2.1. 생존권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 제시한 4대 권리 중 생존권은 아동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권리이다. 유엔은 모든 아동이 고유한 생명권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고, 가능한 최대의 한도로 아동의 발달과 생존을 보장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당사국들은 아동의 사망률 감소, 필요한 의료 서비스 제공, 영양실조 및 질병 퇴치 등의 의무를 지닌다. 또한 아동은 도달 가능한 최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건강회복과 질병치료를 위한 시설을 이용할 권리를 가진다. 이를 통해 모든 아동이 생존에 필요한 기본적인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생존권의 핵심이다.
2.2. 발달권
발달권은 "정규, 비정규 교육을 비롯한 모든 종류의 교육은 물론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발달 뿐만 아니라 도덕적, 사회적 발달을 위해 필요한 평균 수준의 생활을 누릴 권리를 포함한다."이다. 아동은 스스로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권리가 있으며, 성인은 그들의 의견을 들어주어야 한다.
...
참고 자료
윤서연(2018)『만 4세 유아들의 권리존중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성옥(2015)『참여권의 재해석에 기초한 보육현장의 영 유아 청문권』,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소연(2018). 영유아 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임선희(2014).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정부교제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소재 민간어린이집 원장을 중심으로 -.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유엔아동권리협약 (198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