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태변흡인증후군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과 의의
1.3. 연구 문제 및 연구 범위
2. 이론적 배경
2.1. 태변흡인증후군의 정의
2.2. 태변흡인증후군의 병인론
2.3. 태변흡인증후군의 위험요인
3. 태변흡인증후군의 임상양상
3.1. 증상 및 징후
3.2. 진단적 검사
4. 태변흡인증후군의 합병증
4.1. 기흉
4.2. 폐고혈압
4.3. 폐렴
5. 태변흡인증후군의 치료
5.1. 예방적 치료
5.2. 보존적 치료
5.3. 집중 치료
6. 태변흡인증후군의 간호
6.1. 호흡곤란 완화 간호
6.2. 감염 예방 간호
6.3. 영양 관리 간호
7. 결론 및 제언
7.1. 연구 결과 요약
7.2. 간호학적 의의 및 제언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태변흡인증후군은 출산 후 배출되어야 할 태변이 태내에서 배출되어 태아가 그것을 흡입함으로써 발생하는 질환이다. 출산 후 전체 신생아의 8~15%가 이 질환을 앓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내용이기 때문에 이번 실습을 계기로 태변흡인증후군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하고자 한다.
태변은 태아의 첫 번째 장내 배설물로 70~80%의 수분과 장분비액, 태지, 양수 등이 섞인 형태이다. 태변은 태아 질식이나 자궁 내 스트레스로 인해 자궁강 내에서 배출될 수 있으며, 전체 출생의 약 10% 정도에서 양수가 태변으로 착색된다. 이렇게 태변으로 착색된 양수는 태아가 배 내에서 혹은 분만 직후 첫 호흡 시에 기도로 들어가게 되어 태변이 폐로 유입되면 공기가 배출되지 않아 폐기종, 폐종격동의 파열 혹은 기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흡인된 태변은 표면활성제를 파괴하여 폐의 표면장력을 증가시키고 폐 확장을 방해한다.
태변흡인증후군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다. 태반조기박리, 제대 이상, 모체의 저혈압, 태반순환장애, 임신고혈압, 빈혈 등과 같은 산과적 합병증으로 인해 태아 저산소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장에 허혈 현상이 일어나 장의 연동운동이 증가하며, 항문 조임근이 이완되어 태변이 양수 내로 배출 및 착색되는 것이다.
1.2. 연구의 목적과 의의
태변흡인증후군은 출산 후 배출되어야 할 태변이 태아가 자궁 내에서 배출하여 흡인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는 전체 출생아의 8~15%를 차지할 만큼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따라서 신생아실에서 간과할 수 없는 내용 중 하나로, 이번 연구를 통해 태변흡인증후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태변흡인증후군 환아의 예후 향상과 합병증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신생아 간호 교육과정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1.3. 연구 문제 및 연구 범위
태변흡인증후군에 대한 문헌고찰 연구에서는 병인론, 위험요인, 임상양상, 합병증, 치료법, 간호 등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이를 통해 태변흡인증후군의 발병 원인과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임상적 특징과 합병증을 조사한다. 또한 치료법과 간호 중재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신생아의 예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포괄적인 문헌 고찰을 통해 태변흡인증후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 임상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관리와 간호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태변흡인증후군의 정의
태변흡인증후군은 정상적으로는 생후 48시간 이내에 배출되게 되는 태변이 태내에서 배출되어 양수 내에 있다가 분만 직전 또는 분만 도중에 이를 흡입하면서 발생하는 질환군이다. 이것은 양수 안에 있는 태변을 흡입하여 다른 원인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호흡곤란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만삭아에서 출산 직후 심각한 상태로 발전할 수 있는 신생아 시기의 중요한 질환 중 하나이다.
2.2. 태변흡인증후군의 병인론
태아가 자궁 내에 있을 때, 분만 과정 중에 저산소증에 노출되면 태아의 장 운동이 항진되고 항문 괄약근이 이완되어 태변이 양수 내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대가 눌리거나 두부 압박이 있으면 미주신경이 자극되어 항문 괄약근이 열리면서 태변을 배출하는 경우도 있다. 자궁 내 태아에게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태아의 저산소증과 산혈증으로 인해 항문 괄약근이 열리고 태변을 배출하게 된다. 태변 배출은 양수 내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기도 하다. 이렇게 양수 내 배출된 태변은 태아가 분만 중 또는 출생 직후 첫 호흡 시 기도로 유입되어 태변흡인증후군을 일으킨다. 흡인된 태변은 기도를 폐쇄시키고, 화학적 염증 반응을 유발하며, 폐 표면활성제를 비활성화하여 폐의 기능을 저해한다.
2.3. 태변흡인증후군의 위험요인
산모의 고혈압이 있...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605
[네이버 지식백과] 태변흡입증후군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네이버 지식백과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건강백과-차병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01404&cid=63166&categoryId=51024
[네이버 지식백과] 신생아기의 생리적 특성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87939&cid=40942&categoryId=32182
NANDA-I 간호진단 목록 : 2018-2020
대한민국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윤은자 : 성인간호학.2(개정판 9판)(양장본 HardCover). 수문사. (2021).
김영혜 외 : 아동간호학 총론, 각론 제 10판. 수문사. (2019)
윤소진, 임주희, 이순민, 김선정, 이선경, & 이수민. (2020). 미숙아에서 영양지원팀에 의한 영양중재가 출생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2(2), 26-33.
이강이 외(2014). 건강사정. 현문사.
김영혜 외(2014).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보건복지부 건강정보 http://health.mw.go.kr/Main.do
세브란스 어린이 병원 http://sev.iseverance.com/children/
대한산부인과 의사회 http://www.kaog.org/
김미예 외, 「신생아 건강간호」, 수문사, 2018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웹사이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605&cid=51007&categoryId=51007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웹사이트],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4290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웹사이트],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