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세대학설립과 도서관운영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중세 대학의 설립과 도서관운영관리
2.1. 중세 대학의 설립 배경과 발전
2.2. 초기 대학도서관
2.3. 중세 대학도서관의 운영과 관리
2.4. 현대 대학도서관의 변화양상과 특징
2.5. 의견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대학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학이 왜 어떤 이유로 시작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고, 고대 그리스의 아카데미아를 대학의 시작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와 유사한 형태의 대학은 주로 12세기 중세 유럽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는 12세기에 시작된 대학이 정규과목이나 학위 등의 제도를 갖추었기 때문만이 아니라 당시의 시대 상황이 대학의 성립에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교회와 수도원을 중심으로 축적된 학문적 전통, 십자군 원정으로 인한 이슬람의 새로운 지식의 유입, 무역의 발달과 전쟁으로 인한 법률과 의학적 전문지식의 필요성, 인간의 이성을 중시하는 의식의 변화, 인구의 증가와 도시의 출현, 정치적 안정 등이 당시 대학이 출현하게 되는 시대적 배경으로 볼 수 있다. 12세기의 르네상스라고 불릴 수 있는 당시의 시대적 변화는 기존 성당이나 수도원 학교의 틀에 얽매여있던 지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지식에 대한 욕망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새로운 지식을 배우고 가르치려는 자들이 모여 자연스럽게 공동체를 형성하고 대학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중세의 대학들은 그리스와 이슬람의 문화에 관한 관심과 7가지 교양과목과 신학, 의학, 법학 등의 학문을 바탕으로 교수와 학생 간의 긴밀한 협력관계 속에서 발생하였다.
2. 중세 대학의 설립과 도서관운영관리
2.1. 중세 대학의 설립 배경과 발전
중세 시대 대학의 주요 특징은 교수와 학생들의 공동체 속에서 장기간에 걸쳐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초기 대학들은 길드(Guild)와 같은 조합의 형태인 '우니베르지타스(Universitas)'로 발전하여 일정한 조직을 형성한 뒤 교회나 국가로부터 인가를 받았다. 대학들이 조합의 형태로 시작되었다는 것은 그들의 목적과 이익을 수호하기 위해 외부의 통제로부터 저항할 수 있는 하나의 단결체였음을 의미한다. 비록 당시의 대학들이 교회나 국가로부터 인가를 받아야 했지만, 이것은 간섭보다는 특권의 공인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공식적으로 부여된 특권은 학문연구를 위한 자주권, 치외법권의 인정, 학위 수여권, 위상 인정 등이었다.
중세대학의 발생 원인에 관해서는 진리탐구에 대한 열망, 실용적 목적, 체제 유지를 위한 계층 이익의 대변기구 등 몇 가지 입장이 존재한다. Grundmann(1964)은 "가장 본질적인 지표는 직업교육이나 일반교양 교육의 필요성, 국가나 교회 또는 사회경제적인 충동이나 동기가 아니라 학문적인 관심, 즉 지식과 인식에의 의지"였다고 주장하며 대학의 본질과 기원이 학문과 진리탐구에 있었음을 주장하였다. 반면, Cobban(1975: 237)은 교육이 실용적 목적을 위한 수단이었지 교육 그 자체가 목적이었던 적은 거의 없었으며, 중세의 대학도 시작부터 실용적인 사회의 요구에 부합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원인 이외에도 김철(2006)은 중세 말의 시민 학교의 발생, 기독교의 교리와 사상 강화를 위한 교회 교육 등으로 볼 때 당시 대학이 체제 유지를 위한 계층의 이익을 대변하는 기구의 성격도 가지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에서 더 나아가 Ruegg(1991: 10)는 중세의 대학이 지배계급 지배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사람들을 훈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는 마르크스주의 역사관의 주장도소개한 바 있다. 이러한 주장들에 대해 단일 배경이나 원인으로만 형성되었다면 대학이 오랫동안 존재하기 어려웠을 것이며, 대학 구성원들의 지적 탐구심을 바탕으로 대학이라는 제도가 생길 수 있었고, 실용적인 ...
참고 자료
김양진 외, 고대 도서관의 역사, 르네상스, 2003.
김중기. (2000). 중세대학의 기원에 관한 고찰. 역사와 문화.
고부응. (2012). 근대 대학의 형성: 칸트의 이성의 대학에서 훔볼트의 학문의 자유 대학으로. 비평과 이론.
노영희. 2010. “도서관 3.0의 개념과 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송승섭, 문명의 뇌 서양 도서관의 역사, 서울: 조은글터, 2019.
한국문헌정보학회, 문헌정보학의 이해,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04.
강승배. 디지털 시대의 도서관 정보 관리. 한국도서관협회, 2017
김경희. 도서관 장서 관리와 국가 경쟁력. 학지사, 2018
김명호. 지식정보사회와 도서관의 역할. 도서출판 진한엠앤비, 2015
김성준, 디지털 도서관과 정보화 사회. 경인문화사, 2013.
김수환. 도서관과 정보 서비스의 미래. 한양대학교출판부,2019
김영희. 정보 사회와 도서관 장서 관리. 한국출판협회, 2020
김유미, 도서관 경영과 장서 관리. 도서출판 학문사, 2018.
김윤정. 국가 발전을 위한 도서관의 역할. 한양대학교출판부, 2016
김종수. 도서관 정보 관리의 역사와 발전. 도서출판 책과사람, 2014
김진호. 디지털 도서관의 장서 관리와 발전 방향. 한국도서관협회, 2014
박선미. 한국 도서관 장서 관리의 현황과 과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박지수. 국가 발전과 도서관의 기능적 역할. 학지사. 2019
배수연. 도서관 정보 서비스의 혁신과 발전. 도서출판 학문사, 2017
서정훈. 지식 정보 사회에서의 도서관과 국가 발전. 경인문화사, 2015
신동준. 도서관의 장서 관리와 사회적 영향. 한울출판사, 2016
애슐리 콜. "중세 수도원의 도서관." 중세 유럽 연구 저널, 2021.
윤혜영. 디지털시대의 장서관리. 한국도서관협회, 2020
이경희. 도서관의 장서 관리와 국가 경제 발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19
이명희. 정보 사회에서의 도서관과 지식 관리. 학지사, 2014
이민영, 도서관 서비스와 국가 경쟁력 강화. 아카데미프레스, 2019.
이영희, 디지털 시대의 도서관 장서 관리 전략. 한국도서관협회, 2015.
이정희. 도서관의 장서 관리와 정보 접근성 강화. 한국출판협회,2020
정윤수. 도서관 정보 관리의 중요성과 발전 전략. 경인문화사, 2015
정진희,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국가 발전.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7.
조영희, 도서관 학습 공간의 혁신과 국가 발전. 학지사, 2020.
최경희. 디지털 시대의 도서관 장서 관리. 한울출판사.
프랑크푸르트 국립 도서관. "독일의 학문적 연구와 도서관의 역할." 독일 학술 연구, 2020.
한국 공공 도서관 협회. "한국의 공공 도서관과 사회적 역할." 한국 도서관 연구, 2022.
한국문헌정보학회, 문헌정보학의이해 한국도서관협회, 2021
한지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과 국가 발전 전략.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8.
Batt, C. (2009). Perspectives on preserv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braries Unlimited, 2009
Brindley, L. Preserving the past, building the future: The role of heritage collections in a digital world.British Library, 2016
Campbell, J. D. (2006). Changing a cultural icon: The academic library as a virtual destination.Educause Review, 41(1), 16-31, 2006
Chang, S. Knowledge management in libraries and organizations.Library Management, 40(5), 2019
Choudhury, G. S. (2011). Digital preservation: Willer and newer strategies for libraries.Library Trends, 60(1), 90-111, 2011
Feather, J. (2013). The information society: A study of continuity and change.Facet Publishing,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