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학 기관지폐렴 간호진단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사례 연구 기간 및 방법
1.3.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2. 간호과정
2.1. 간호 사정
2.2. 간호진단
2.3. 간호계획
2.4. 간호수행
2.5. 간호평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기관지폐렴(bronchopneumonia)은 아동에게 흔히 발생하는 호흡기계 질환이다. 실습 중인 병동에서도 기관지염 진단을 받고 입원한 환아들이 많았으며, 이후 기관지폐렴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번 사례보고서 작성을 통해 기관지폐렴의 병태생리, 진단, 치료 및 간호에 대해 학습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비판적 사고를 활용한 간호과정을 적용해볼 것이다.
기관지폐렴은 상기도의 염증이 폐까지 퍼져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질환이다. 주요 원인균으로는 폐렴구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녹농균, 대장균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발열,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며, 진단을 위해 흉부 방사선 검사와 혈액 검사 등을 시행한다. 치료는 증상에 따른 대증요법과 항생제 투여로 이루어진다. 간호 중재로는 기도 청결 유지, 호흡곤란 예방, 수액 및 영양 공급, 감염관리 등이 필요하다.
이번 사례보고서를 통해 기관지폐렴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하고, 이를 토대로 환아의 상태와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적용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임상 실무에서 기관지폐렴 환아의 간호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1.2. 사례 연구 기간 및 방법
2023년 8월 21일 ~ 8월 25일 OO병원 O병동에 입원중인 OOO 환아를 대상으로 직접 환아를 관찰하였다. OO병원 EMR 환자 정보, 인터넷 검색, 환아의 보호자 및 환아와의 면담, 간호사 선생님의 말씀을 통해 자료 수집을 하고 알맞은 간호 수행을 한 내용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3.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기관지폐렴(Bronchopneumonia)은 기관지염이 폐포에 파급되어 폐의 염증 질환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폐렴은 아동기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특히 영아와 아주 어린 아동에게 자주 나타난다.
폐렴은 호흡기 방어기전의 결여로 재발되거나 악화된다. 코의 여과기능 장애, 구개 및 기침 반사 저하, 점액 및 세포의 청정 기능 장애, 폐포 대식세포의 세균 박멸 능력감소, 국소 면역물질 분비 장애, 림프액 순환 장애 등으로 방어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할 수 있다.
소아 폐렴의 주된 원인균으로는 폐렴구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녹농균, 대장균 등이 있다. 폐렴구균은 소아에게 가장 흔한 세균성폐렴의 원인이며, 주로 상기도 바이러스 감염이 선행한다. 포도상구균성 폐렴은 농흉, 농기흉, 긴장성 기흉으로 발전될 수 있고, 연쇄상구균은 감염된 사람으로부터 감수성이 있는 사람에게 직접 접촉에 의해 전파된다. 녹농균은 호기성 균으로 특히 다른 혼합감염이 있을 경우 강하게 나타나며, 대장균은 숙주의 방어기능이 약한 영·유아나 면역력이 떨어진 노인 환자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세균성폐렴보다 더 자주 발생하고 모든 연령층의 아동에게 나타나며, 바이러스성 폐렴을 유발하는 주된 바이러스로는 RSV, parainfluenza, influenza, adenovirus 등이 있다. 원발성 비정형성 폐렴은 5세 이상 아동에게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 중증 급성 호흡증후군(SARS)은 비정형성 폐렴의 중증 형태이며, 일부 아동에서 기도삽관과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할 정도의 중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조류독감은 폐사율이 90~100%에 이르는 고병원성 감염으로 아동에게 심한 폐손상을 동반한 ARDS로 빠르게 진행된다. 세균성 폐렴의 경우 아동과 어른 모두에게 나타나며 가장 일반적인 원인균은 폐렴연쇄상구균이다.
폐렴이 발생하면 감염 부위로 혈류량...
참고 자료
Mckinney 외 2023년 아동간호학(하). 제6판 현문사-네이버 지식백과 (소아폐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19740&cid=51007&categoryId=51007
박억숭 외 약리학 2021년 수문사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아산병원 (변비)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00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II 2021년 제4판 현문사
질병관리청 국가정보포털(변비)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질병관리청 국가정보포털(소아 폐렴)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김미예 외, 『아동건강회복간호』, 수문사, 2018
김미예 외, 『아동건강증진간호』, 수문사, 2018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2014
김종임 외, 『EBN 기본간호학 Ⅱ』, 수문사, 2018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Ⅰ 9판개정』, 수문사, 2021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김금자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2
BIT Druginfo 홈페이지, 약학 정보 및 약물 사진
Lab tests online 홈페이지, 대한진단검사의학회
MSD 매뉴얼 일반인용 홈페이지
Dr. Yuranga Weerakkody, “Peribronchial cuffin”, Radiopaedia.org., 2019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Peribronchial cuffing”, Wikipedia
서울대학교병원 N 의학정보, “철결핍성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서울대학교병원 진료질환정보, “소아 폐렴[pneumonia in children]”
코메디닷컴 관리자, “기관지폐렴”, 코메디닷컴,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