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체계측 지침서
1.1. 신체계측의 의의
개인이나 집단의 현재 신체 상태를 평가할 수 있으며, 반복 측정을 통해 장기간의 신체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인구집단 내에서와 인구집단 간의 신체 차이를 비교하여 유전적 또는 환경적 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검사를 전국적으로 다기관에서 실시하고, 도구를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측정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사용하는 도구에 의해 혹은 관찰자의 편견이나 조작미숙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기 쉬우며, 이런 문제 없이도 생물학적 변이 때문에 측정 간 재현성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와 검사장비, 검사방법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다.
1.2. 신체계측 지침서의 필요성
검사가 전국적으로 다기관에서 이루어지고, 도구를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측정하는 것이 대부분이라 사용하는 도구에 의해 혹은 관찰자의 편견이나 조작미숙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이런 문제 없이도 생물학적 변이 때문에 측정 간 재현성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와 검사장비, 검사방법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다. 개인이나 집단의 현재 신체 상태를 평가하고 장기간의 신체 변화를 관찰할 수 있으며, 인구집단 내외의 신체 차이를 비교하여 유전적 또는 환경적 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신체계측 지침서의 개발 및 준수가 필요한 것이다.
신체계측의 결과는 개인 건강관리와 국가 보건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므로, 정확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표준화된 지침의 마련이 필수적이다. 특정 계측법의 오차와 측정변이를 최소화하고 결과의 재현성을 높이기 위해 측정자, 측정기기, 측정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지침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신체계측 자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관된 기준과 절차에 따른 계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신체계측 지침서의 필요성은 개인과 집단의 건강관리 및 국가보건정책 수립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 준비와 점검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수검자는 시작 전에 간단한 속옷만 착용한 후 가운을 입도록 한다. 검사 순서를 확인한 후 검사를 시행하는 측정자가 결과지 상단의 수검자 개인번호와 이름을 기재한다. 모든 기기와 도구는 당일 검사 시작 전에 측정자를 대상으로 시험해보아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고, 상태를 팀장에게 보고한다. 일일 검진이 완료되면 측정 담당자가 기기와 소모품을 정리하고 결과를 팀장에게 보고하되 측정 중에 발생하는 모든 문제에 대해서도 팀장에게 보고하여 지시에 따른다.
검사가 전국적으로 다기관에서 이루어지고, 도구를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측정하는 것이 대부분이라 사용하는 도구에 의해 혹은 관찰자의 편견이나 조작미숙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기 쉬우며 이런 문제없이도 생물학적 변이 때문에 측정 간 재현성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와 검사장비, 검사방법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다. 개인이나 집단의 현재 신체 상태평가 뿐만 아니라 반복측정을 통하여 장기간의 신체 변화를 관찰할 수 있고, 인구집단 내에서와 인구집단 간의 신체 차이를 비교하여 유전적 또는 환경적 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다.
2. 신장 측정 지침서
2.1. 신장계 관리
단단하고 편평한 표면에 신장계를 수직으로 설치한다. 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