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관리실습 보고서
1.1. 조직과 통제
1.1.1. 조직의 유형
공식 조직과 비공식 조직의 특성
공식 조직은 법령 또는 규정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조직이다. 공식 조직은 인위적으로 발생하며, 제도적이고 가시적인 형태를 가진다. 대인관계는 미리 규정되어 있으며, 상·벌에 의해 행동이 통제된다. 공식 조직은 상대적으로 의존적이며, 조직의 전체 질서를 추구한다. 반면, 비공식 조직은 조직구성원들 간의 인간적인 접촉이나 친분, 인간관계 등을 바탕으로 하여 집단형성 자체가 목적이 되는 자연발생적인 조직이다. 비공식 조직은 자생적으로 발생하며, 비제도적이고 비가시적인 형태를 가진다. 대인관계는 상호 욕구나 필요에 의해 규정되며, 욕구충족에 의해 행동이 통제된다. 비공식 조직은 상대적으로 비의존적이며, 조직의 부분 질서를 추구한다.
1.1.2. 조직화의 원리
조직화의 원리는 조직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침이다. 조직화의 원리에는 계층제의 원리, 명령통일의 원리, 통솔범위의 원리, 분업 및 전문화의 원리, 조정의 원리, 책임과 권한의 원리 등이 있다.
계층제의 원리는 조직구성원을 권한, 책임, 의무의 정도에 따라 상·하 계급이나 계층별로 집단화하고, 각 계층에 권한과 책임을 배분하며, 명령계통과 지휘, 감독의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다. 명령통일의 원리는 각 조직 구성원이 한 사람의 상사로부터 직접 지시를 받고 보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통솔범위의 원리는 한 사람의 통솔자가 직접 감독할 수 있는 부하직원이나 조직단위의 수를 통솔자가 효율적으로 지도, 감독할 수 있는 범위 내로 제한해야 한다는 것이다. 분업 및 전문화의 원리는 업무를 그 종류와 성질에 따라 나누어 조직 구성원이 한 가지 주된 업무를 맡도록 일을 분담하는 것이다. 조정의 원리는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원의 행동을 통일하고 집단의 노력을 질서 있게 함으로써 조직의 존속과 효율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책임과 권한의 원리는 할당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책임의 명료화와 더불어 이를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직화의 원리는 조직 운영의 기본이 되는 다양한 지침을 제시하여 조직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1.1.3. 조직구조의 유형
조직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관리자가 만능인이 되어야 하는데 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 경우 직무를 비슷한 유형별로 통합하여 구조화 한 것이 직능조직이다. 직능조직은 조직의 기능과 이를 수행하는 직무 및 권한을 계층화하여 구조화한 것으로, 각 기능별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다. 조직의 기능별 부서로는 간호부, 의무부, 약제부 등이 있으며, 각 부서는 관련 직무를 수행한다. 또한 부서 간 수직적 계층구조를 갖추어 효율적 통제와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조직에 기동성을 부여한 일종의 대체 조직이 프로젝트 조직이다. 프로젝트 조직은 특정 과제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창설되는 임시적 조직으로,...